최근에 K뱅크의 예금 금리가 2금융권 예금 금리보다 높아지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 그런가요?
최근에 K뱅크의 1년 정기 예금 금리가 2.75%가 되었는데
신협, 수협 등 제2금융권 예금 금리는 고작 2.60 ~ 2.70 %입니다.
이렇게 금리가 역전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케이뱅크는 일반 시중은행과 같은 제1금융권에 속하지만, 자금 유치를 위해 제2금융권과 경쟁하는 인터넷 전문은행의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수신 규모를 빠르게 확대하고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 전략의 일환으로, 일반적으로 1금융권보다 높은 수준으로 예금 금리를 책정하여 금리 경쟁력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금리가 역전된 것은 인터넷은행인 K뱅크가 공격적으로 자금을 유치하려고 고금리를 제시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출 사업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신협, 수협 등 제2금융권은 필요한 유동성을 이미 확보했고, 최근 부동산 PF 등 건전성 관리와 비용 절감을 위해 예금 금리를 낮추는 추세에 있습니다.
이처럼 K뱅크는 금리를 높이고 제2금융권은 금리를 낮추면서 일시적인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은행은 별도의 지점이 없어 소모비용이 상당히 적습니다.
이런 지점이 없는 것은 영업의 한계가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신뢰성과 안정성, 고객 유치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메리트를 부여해야 하며 수수료 무료나 높은 이자 등의 메리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제1금융권 은행의 예금 금리가 제2금융권보다 높은 경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이는 국가에서 나오는 정책을
제1금융권 은행들이 더 빠르게 수용해서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