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거래 시장의 주요지표는 무엇이 있나요?
주식같은 경우는 해외 나스닥, S&P, 다우 선물지수도 보고, VIX지수등등 많은 지표들을 보고 참조하잖아요. 코인의 경우는 그날그날 참고할만한 지표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 거래 시장의 주요 지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RSI, 이동평균선, 거래량, 시가 총액 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의 경우에는 외부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코인 거래 시에 참고해야 하는 지표로는 RSI, 이동 평균선, 이동평균 수렴확산, 볼린저 밴드 등이 존재합니다.
이외에도 미국의 경제 지표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고려하셔서 투자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함한 다양한 암호화폐 성과를 추적하는 S&P Cryptocurrency 지수가 있습니다.
240개 가상자산 시장을 추적하는 'S&P Cryptocurrency Broad Digital Market 지수(BDM)가 대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를 할 때 참조 하는 지표들도 많이 있습니다.
우선 질문자님께서 언급 하신 주식 관련 지표 또한 메크로 현황을 파악 하는 지표이기에 코인 투자자들 또한 중요하게 보는 지표들임을 먼저 말씀 드리며 코인 투자자가 별도로 보는 지표를 저를 중심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흐름
Total 1,2,3, Other 시총 흐름
비트코인 도미넌스
USDT도미넌스
MVRV지표
비트코인 해쉬레이트 현황
위의 지표와 현황들은 기본적으로 크립토 전체 현황을 파악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항 들 입니다.
자세한 것은 각 지표들을 구글검색하시면 상세하게 아실 수 있으실 것 입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별점 부탁 드립니다.
코인시장에서도 거래할때 참고할만한 지표들은 주식시장과 비슷합니다. 물론 각종 주가지수는 아닙니다만 이것을 대체하는것은 비트코인 시세라고 봐도 될것같습니다.
그외에 시가총액, 거래량, 비트코인의 전체 암호화폐에서 비중, 공포탐욕지수, rsi지수 등이 사용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코인시장의 경우 별도로 PER, PBR 등의 가치 지표는 없기 때문에 입금량이나 차트 정도를 주요 지표로 참고하며, 일반적으로 거래량을 통해 '저점에서 거래량이 많은 코인이면서 꾸준히 오르느냐?' 이걸 보는 게 중요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에서도 주식처럼 참고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이 있습니다. 먼저,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비트코인이 전체 가상자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주고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 공포와 탐욕 지수는 투자자들이 현재 얼마나 불안해하거나 욕심을 부리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시장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마지막으로 거래량과 오픈 이자는 현재 시장에서 얼마나 많은 거래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사람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거래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참고하면 코인 시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시장에서 당일 참고할만한 지표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표들이 있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BTC Dominance):
비트코인의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높아지면 알트코인에 비해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반대로 도미넌스가 낮아지면 알트코인의 강세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Volume):
특정 암호화폐의 거래량은 시장의 유동성과 관심도를 보여줍니다. 거래량이 급증하면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거나 큰 변동성이 예상될 수 있습니다.
공포와 탐욕 지수 (Fear and Greed Index):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수치는 시장이 과열되어 있음을, 낮은 수치는 시장이 과매도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오픈 이자 (Open Interest):
선물 및 옵션 시장에서 미결제 계약 수를 나타냅니다. 오픈 이자의 증가는 새로운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가격 변동성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펀딩 비율 (Funding Rate):
파생상품 시장에서 롱(매수)과 숏(매도) 포지션 간의 자금 이동을 나타냅니다. 양의 펀딩 비율은 롱 포지션이 많음을, 음의 펀딩 비율은 숏 포지션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거래량: 거래량은 시장의 활발성을 나타내며, 대규모 거래량 변동은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이동평균선: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은 가격 흐름의 추세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3. 상대강도지수(RSI): RSI는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볼린저밴드: 가격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상한선과 하한선을 통해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5.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상대적 가격: 이 두 대표적인 코인의 상대적 가격 변동은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