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여성이 탈모약을 먹으면 안되는이유
이 질문을 약료 쪽 카테고리로 한번 했었는데 약사님들 의견이 대부분 호르몬 약이기 때문에 태아의 성기나 고환의 위치가 달라질수있고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진다 정도의 답변만 얻었네요 혹시 어떤 원리로 인해서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지는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임산부에 대한 대부분의 약이 복용 안정성이 확인되있지 않거나 금기에 해당 됩니다. 이는 임산부를 대상의로 임상시험을 시행할 순 없기 때문입니다.
기형 초래 가능성에 대해 약을 분류한 FDA 분류를 보시면 FDA A에 해당되는 약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임신이 확인된 시점부터는 필수적인 약을 제외시 복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임신 중 여성이 탈모약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탈모 치료에 사용되는 특정 약물들, 특히 핀페시아(피나스테라이드)와 같은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가 태아의 정상적인 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변환시키는 5알파-환원효소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합니다. DHT는 남성의 전립선 성장과 머리카락의 성장 패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탈모 치료에 있어서 과도한 DHT 수준을 줄이는 것이 치료 목표 중 하나입니다.
임신 중에 이러한 약물을 복용할 경우, 태아 특히 남아의 경우에 성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DHT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태아의 성기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게 하고, 고환 하강 불량과 같은 성기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의 영향으로 인해 태아의 성기 발달 장애와 같은 기형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설명들으신대로 탈모약은 남성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기형아가 가장 문제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안드로겐이라는 남성 호르몬을 변형시키는 효소를 억제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