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산부인과

시안이네
시안이네

임신중 여성이 탈모약을 먹으면 안되는이유

성별
남성
나이대
32

이 질문을 약료 쪽 카테고리로 한번 했었는데 약사님들 의견이 대부분 호르몬 약이기 때문에 태아의 성기나 고환의 위치가 달라질수있고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진다 정도의 답변만 얻었네요 혹시 어떤 원리로 인해서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지는지 알수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임산부에 대한 대부분의 약이 복용 안정성이 확인되있지 않거나 금기에 해당 됩니다. 이는 임산부를 대상의로 임상시험을 시행할 순 없기 때문입니다.

      기형 초래 가능성에 대해 약을 분류한 FDA 분류를 보시면 FDA A에 해당되는 약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임신이 확인된 시점부터는 필수적인 약을 제외시 복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임신 중 여성이 탈모약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탈모 치료에 사용되는 특정 약물들, 특히 핀페시아(피나스테라이드)와 같은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가 태아의 정상적인 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변환시키는 5알파-환원효소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합니다. DHT는 남성의 전립선 성장과 머리카락의 성장 패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탈모 치료에 있어서 과도한 DHT 수준을 줄이는 것이 치료 목표 중 하나입니다.

      임신 중에 이러한 약물을 복용할 경우, 태아 특히 남아의 경우에 성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DHT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태아의 성기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게 하고, 고환 하강 불량과 같은 성기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의 영향으로 인해 태아의 성기 발달 장애와 같은 기형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설명들으신대로 탈모약은 남성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기형아가 가장 문제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안드로겐이라는 남성 호르몬을 변형시키는 효소를 억제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