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오일쇼크때 발생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펼쳤던 국내.국외 대응 방식이 뭔가요?
제2차 오일쇼크때 발생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펼쳤던 국내.국외 대응 방식이 뭔가요? 오일쇼크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그 당시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 답변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통화공급을 관리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 활동을 안정화하기 위해 활발한 통화정책을 시행했습니다
미국은 풀어진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을 시도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미국에서는 엄청난 금리인상을 통하여 이에 따라서 이를 해결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발생은 아시다시피 고금리임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인데요.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결국 초고금리를 통해 실업률 희생이 필요하게 됩니다.
즉, 엄청난 경기침체를 겪어야만 풀리는 것이죠. 다 뒤집어 엎어야만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지금 금리인하도 연준이 계속해서 비둘기적입장을 취하는 이유도
자칫 경기가 힘들다고해서 금리인하를 할 경우 다시 물가 폭등하여 겉잡을 수 없는 수렁속으로 빠질까봐 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제2차 오일쇼크 때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금리를 올리고 돈을 적게 쓰려고 했습니다. 외국에서는 정부가 세금을 낮추고 기업을 도와서 일자리를 늘리려고 했습니다. 전세계 모두가 경제를 안정시키고 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정부가 사실 1,2차 오일쇼크에서 쓸 수 있는 정책은 아껴 쓰고, 덜 쓰는 것 외에 별다른 대응책이 없었습니다.
그나마 2차 오일쇼크 때 중화학분야 투자조정 조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재할인율과 단기이자율을 단계적으로 인하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고강도 긴축정책을 펼쳤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내에서는 먼저 석유파동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강력한 긴축정책을 시행했습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였고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는 한편,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세금 감면 및 보조금 지원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해외에서는 미국의 경우 당시 미연방준비제도의 폴 볼커 의장은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리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는 더욱 침체되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인플레이션 억제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