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05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많이 차이 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어떤 결과가 예상되는지 그리고 대응 방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진다면

    외인자본유출 및 원달러 환율 급등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간 금리차이 격차로 외국인 자본 이탈, 원‧달러 환율 상승에 수출기업의 타격이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혜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높고,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낮은 상태입니다.

    이렇게 기준 금리의 차이가 많이 나게 되면 외국인 자본의 이탈이 일어납니다.

    기준금리가 높은 미국에 자본을 맡기는 것이 기준금리가 낮은 한국에 맡기는 것보다

    수익률이 좋을테니까요.

    또 하나는 우리나라의 수입 물가가 올라갑니다.

    금리차가 벌어질수록 달러의 가치는 높아지고, 원화의 가치는 낮아집니다.( 인기가 떨어지고 수요가 줄죠)

    원화의 가치가 달러에 비해 떨어지게 되면, 우리가 1,000원에 사오던 수입 물품을 이제는 1,500원에 사와야 합니다.

    수입해서 들여오는 데 필요한 돈이 이렇게 50%가량 늘었다고 가정해보면, 그만큼 소비자 물가도 오르고

    전반적으로 물가 자체가 올라가는 결과가 생기죠.

    미국과 한국의 벌어진 금리 격차는 결국 우리나라의 물가를 끌어올립니다.

    사실 대안이라면 어느정도 우리도 기준금리를 따라 올리는건데, 현재 우리의 가계대출 상황과 부동산 시장 상황상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도 한번 부탁드립니다.

    환절기 건강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흔히 자본이 금리가 높은 국가로 빠져나가 환율이 오를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다른 요소에 의해 환율이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영향은 환율입니다. 미달러 표시 자산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가로 달러가치가 상승하는데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커지면 원화 표시 자산을 가진 국내 외국인 투자가들의 잠재적 환손실도 커지게 됩니다.

    실제 매도에 나서게 되면 원화 환율은 더 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높은 이자율을 가진 국가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어 미국의 달러 통화 가치가 상승하고, 한국의 원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미국으로 자본이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금리차이는 이미 1.75%로 많이 벌어져있으나, 만약 향후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으로 격차가 더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 원화와 달러의 환률이 급등하고, 외국이 자금이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황은 무조건적인 것은 없으나 원래라면 금리차이가 나는경우

    외국인자본 유출과 더불어

    국내 원화가치가 낮기때문에 수입물가가 상승하여

    물가 자체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원래라면 한국의 경우 이런현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하는데

    미국의 디폴트 우려덕분에 외국인자본이 들어왔죠.

    하지만 이미 금리격차가 난 이상 7~8월중에는 물가가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서 추가금리인상 불안감은 아직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현재 수준에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달러환율은 점차적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중요한 것은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로서, 이로 인해서 발생하게 될 한미간의 금리인상 격차 예상수준이 향후 달러환율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동결로 굳혀지게 되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은 점차적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인상기조가 다시금 빨라지거나 혹은 정점금리 예상수준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의 상승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현재의 1.75%수준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연말까지 달러환율은 소폭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양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확대되면 한국 원화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한국에 비해 높다면 미국으로의 자금 유출이 증가하고, 한국으로의 자금 유입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즉 원화가치의 하락, 환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한국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고, 소비자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대응이라면 한국도 미국에 맞춰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는것인데, 부동산 가계대출 등이 있어 현재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보이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차이가 많이 나지만 특정 문제들은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1. 환율에 대한 급격한 상승이 예상되었으나 현재 어느정도 안정된 상태입니다.

    2. 외화유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그리 많은 양이 아닙니다.

    다만 금리 차이가 발생하면서 국내 경제가 약해진 측면은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소폭 인상하거나 현재 차이를 유지하면서

    다른 경제 정책을 통한 경제기반을 쌓아나가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차이는 일단 자본유출로 인한 원달러 상승 및 주가하락등을 유발하나 이미 많이 선반영 되어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