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아지랑이는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더운 여름에 도로위를 보면 꿈틀꿈틀 거리는 아지랑이를 볼수 있는데 왜 생기고 어떻게 우리가 볼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물리학적으로는 공기의 유동이 어긋나서 발생합니다. 바람이나 기타 유체가 빠르게 흐르면서 생기는 압력 차이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어긋나면 회전하는 기류가 생겨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저기압과 고기압이 만나서 발생하는 날씨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더운 여름에 도로 위에서 꿈틀거리는 현상은 "위상 차이"라는 현상 때문입니다.

      위상 차이는 빛이나 열 등의 파동이 진행되는 방향과 파동의 진폭이 서로 다르게 전달되어 파동의 형태가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더운 여름에 도로 위에서 볼 수 있는 꿈틀거리는 아지랑이는 열의 위상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도로 위에서 타양진 공기와 도로 바닥의 공기는 온도가 서로 다릅니다. 이 때문에 두 공기 사이에 열의 위상 차이가 생겨서 굴절이 발생하고, 이 굴절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면 꿈틀거리는 아지랑이가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타오르는 공기 위에 뜨거운 공기가 있거나 도로 위에 있는 공기가 다른 공기보다 뜨거울 때 더 잘 발생합니다.

      따라서, 꿈틀거리는 아지랑이는 열의 위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굴절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뜨거운 여름에 도로 위에서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 현상은 뜨거운 여름에 도로나 건물 지붕 등에서 일어나는 광학 현상입니다. 이는 고온으로 단열된 공기가 지표면 위의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져서 상승하면서 일어납니다. 이 상승하는 공기는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수증기가 응축되어 작은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 작은 물방울은 공기 중의 빛을 산란시키는데, 이때 산란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면서 꿈틀거리는 현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아지랑이 현상은 대기의 온도차나 습도 차이 등 여러가지 환경 요인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뜨거운 여름이나 건조한 날씨에서 더 잘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아지랑이 현상은 미적인 측면에서는 아름답고 흥미로운 현상이지만, 도로 운전시 운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햇빛이 빛나는 때에 빛이 눈에 직각으로 들어오지 않고 경사진 각도로 들어올 때 발생합니다. 이 때, 빛은 눈알 안쪽에 있는 유리체라는 투명한 물질과 눈의 망막을 지나가면서 굴절하게 되는데, 이 굴절되는 빛이 눈의 뒷부분에 모이면 아지랑이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아지랑이는 일반적으로 태양이나 달이 비추는 낮에 볼 수 있지만, 불규칙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모양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주로 봄철에 생기는 현상이죠..


      아지랑이가 생기는 이유는 봄철의 아직은 싸늘한 날씨에 비해서,


      지표면은 태양에 의해서 상당한 가열을 받습니다.


      따라서 지표면 근처의 공기는 열을 받아서 단열팽창으로 인해서 밀도가 낮아지죠.


      따라서 밀도가 낮아진 공기덩어리들은 상승하게 되면, 그 빈부분으로 찬공기가


      채워지게 됩니다. 그렇게 채워진 공기는 아직 가열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빛의 굴절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도로 위에서 꿈틀거리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위상 차이에 의한 굴절(Refraction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현상입니다. 이는 지표면과 대기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지표면이 더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면에는 더 높은 온도의 공기가 존재하고, 이러한 더 높은 온도의 공기는 더 낮은 온도의 공기보다 밀도가 낮습니다. 이 때문에 더 높은 온도의 공기는 빛이 지나갈 때 더 큰 굴절을 일으키게 되어, 아래쪽에서 보면 꿈틀거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아지랑이뿐만 아니라, 매우 뜨거운 날씨에는 차량의 흔들림이나 건물의 외벽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열에 의한 공기의 이동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온도가 올라간 지표면의 공기와 그 위쪽의 차가운 공기의 대류가 발생하며 이동하는 것이 햇빛의 굴절에 의해 아른거리게 보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