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경로가 바뀌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태풍 힌남노가 경로가 바뀌어서 불행중 다행이잖아요?
태풍 경로가 계속 바뀌는 이유가 궁금해졌어요...어떤 영향을 받아서 태풍의 경로가 바뀌는지 원인을 알고싶어요!
태풍 힌남노와 보통태풍 둘 다 원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동쪽, 북쪽으로 이동하는 이유는 제트기류의 영향이 가장 큽니다.
제트기류는 지구의 자전방향을 따라서 매우 빠르게 이동하는 기단입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태풍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해수면의 온도와도 관련이 있는데요
그동안의 태풍들을 보면 한반도 에 올라오기전 해수면의 온도가 약 25도보다 낮은 수준이었을 때 사라졌다고 합니다.
힌남노의 경우 현재 해수면의 온도가 25도를 뛰어넘는 수줔이기때문에 더 강력해진 상태로 올라온 형태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태풍은 열대성 저기압이기 때문에 고기압 기단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을즈음 되면 세력이 약해진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에서 탱평양 상공까지 머물기때문에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이동하는 태풍의 빈도가 잦아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북진합니다.
그렇다보니 전향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태풍경로가 이동하게 됩니다
태풍의 진로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태풍과 같은 자연현상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어 진로가 변경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슈퍼컴퓨터를 통해 통계적인 확률만 계산할 수 있을 뿐입니다.관련 이론은 나비 효과와 카오스 이론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힌남노의 경우 기압차와 온도차에의한 바람이 불어 이동경로가 남서에서 북동으로 바뀌어 이동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