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단정한원숭이67
단정한원숭이6724.03.25

의대 증원 반대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의사 부족으로 정부에서 의대 증연을 한다고 했는데요. 그런데 의사들이 엄청난 반대를 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이렇게까지 반대를 하나 싶을정도인데 자기 수입 하락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heafy입니다.

    현재 의사가 환자대비 부족한 건 사실입니다

    그동안 의료의 수요는 꾸준히 늘었지만

    의대정원은 동결이었죠


    사실상 서울 수도권과 지방간의

    의료 격차가 심하고

    지방은 의사를 구하지 못해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은 환영할만하나

    점진적 증원이 아닌 2000명으로 한번에

    늘리겠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에 의료계의 반발이 더 큰 상황입니다.


    의사를 늘리되 교육의 질을 유지해야하고

    지방의료 부족을 어떤 방식으로 제도화하여 펼칠 것인지,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전공의라 부르는 레지던트는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하는 의사인데

    대부분 전문의 되기 전에 돈을 쉽게 버는

    일반의가 되어 비필수의료과인 피부미용이나

    도수치료 같은 비급여 중심의 의료를 통해

    매우 높은 수익을 내는 분야에 집중되어있는 것도

    구조적으로 해결해야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현재 대학병원의 전공의 비율이

    OECD평균에 비해 2-3배 많은 것도 사실이고요


    지난 정부때도 400여명 수준으로 증원하려다

    강경한 의협의 반대로 무산되었는데

    그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몰아부치기 식이니

    의사라는 이익집단도 순순히 수긍하긴 어려운

    대치상황이죠.


    지방대 중심으로 정원을 늘린다고 해도

    지방의 공공의료기관에 10년간 의무 근무해야한다든지

    이러한 제도 없이는 지방의료 부족을 매울 방안도 없고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유지하면서

    필수의료과나 지방의사 부족

    의학대학 내 교육 시설이나 시스템 등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의사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