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에는 왜 산천어가 유명하는가요?
이제는 강원도 화천을 떠올리면 산천어가 떠오른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산천어는 왜 강원도 화천에서 유명하게 되었는가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원도 화천에는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산천어 축제를 하며 산천어를 지역의 특산물로 2003년도부터 계속해 이어왔기에
산천어가 뇌리에 박혀 점점 강원도 하면 산천어가 떠오르게 된것입니다!
화천엔 산천어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왜 강원도에 산천어가 유명한지가 궁금하군요.
산천어의 생활습성이 강원도의 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산천어는 우리나라의 토종 민물고기로, 바다로 나가 산란기에만 돌아오는 송어가 생활습성이 바뀌어 강에서만 생활하는 육봉형으로 굳어져 생겨난 것으로 여겨집니다. 일본명인 야마메는 ‘산의 여인’이라는 뜻을 갖고있다. 송어와 학명이 동일합니다.수온이 20℃를 넘지 않고, 용존 산소량이 9ppm을 넘는 강 상류의 맑은 물에서 삽니다. 육식성으로 동물성 플랑크톤, 갑각류, 물 속 곤충이나 작은 물고기, 물고기 알을 먹으며 생활합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천어는 대부분 동해로 흐르는 강에 분포합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영역을 지키는 행동을 보이거나 떼를 지어 암컷을 맞이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천어는 연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송어가 바다에 내려가지 않고 강에 남아 성장한 송어의 육봉형이라고 합니다. 산천어는 1급수에서만 살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물이 깨끗한 강원도에 많이 양식됩니다. 그 이유로 2003년 부터 화천에서 유명한 어종으로 매년 산천어 축제를 엽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강원도가 거주 인구도 적고 산이 많고 자연 관리가 다른 지역보다 엄격해서 1급수가 많고 산천어 같은 귀한 어종이 많기 때문입닏.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