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4.04.23

산소가 없이도 살수 있는 생물이 있을까요?

지구상의 생물들은 산소가 없이는 살 수없다고 하잖아요. 산소가 생겨나므로 인해 생물들도 많이 번식을 하게 되었는데 혹시 지구상 생물중 산소가 없이도 존재할수 있는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자나 균류 등은 산소와 상관없이 번식하는 생물입니다. 또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등도 산소없이 생존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 없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나에로빅 세균은 산소가 없어도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균류나 원생동물들도 산소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종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상에는 산소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생명체들이 존재합니다. 대부분 이러한 생명체들은 극한 환경에 적응하며, 독특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심해 열수구 생물은 뜨거운 열수와 독성 화합물이 가득한 심해 열수구에서 황화수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들로 대표적입니다. 또한, 지하 생물은 암석 깊숙한 곳에서 철이나 황과 같은 무기 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며 살아가는 미생물들이 발견되었습니다. 기생충인 헨네구야 살미니콜라는 연어 몸 속에서 주변 세포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얻고, 미토콘드리아 없이 독특한 방식으로 생존합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는 지구상의 많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존에 실제로 중요하지만, 산소가 없거나 산소 수준이 매우 낮은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심지어 번성할 수 있는 혐기성 미생물로 알려진 특정 미생물이 있습니다. 이 유기체는 대체 생화학적 경로를 사용하여 산소가 없을 때 에너지를 대사하는 데 적응했습니다.

    혐기성 유기체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혐기성 박테리아: 많은 종의 박테리아가 산소가 고갈된 환경에서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예로는 특정 유형의 Clostridium 및 Bacteroides가 있습니다.

    2. 혐기성 고세균: 고세균은 박테리아와 유사하며 혐기성 조건에서 살 수 있는 종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메탄생성균은 신진대사의 부산물로 메탄을 생성하고 습지, 늪, 동물의 소화관과 같은 환경에서 번성하는 고세균 그룹입니다.

    3. 일부 원생생물: 일부 원생생물 종과 같은 특정 단세포 진핵생물은 혐기성 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유형의 아메바와 편모충은 혐기성 대사가 가능합니다.

    4. 진균: 특정 곰팡이 종은 혐기성 성장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효모는 산소가 없을 때 설탕을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발효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혐기성 유기체는 산소에 의존하지 않고 에너지를 생성하고 대사 과정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을 진화시켰습니다. 그러나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 없이도 생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을 포함한 다른 많은 유기체는 에너지 생성에 필수적인 호흡을 위해 산소가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는 생물의 생존 필수요소입니다.

    하지만 극히 기생충에 대해서 산소가 없이도 살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H.salminicola라는 기생충은 산소없이 살수 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