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행복하게살아요
행복하게살아요

미국 주식의 공포와 탐욕지수에 따른 투자 방법이 궁금합니다.

미국 주식 공포탐욕지수는 나스닥, 다우존스 등의 매수와 매도 과열 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 투자자들이 좋은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라고 밥니다.

따라서 공포탐욕지수를 보는 방법과 투자에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에 대해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포탐욕지수는 미국 투자 분석회사 cnnmoney가 개발한 것으로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측정합니다. 공포탐욕지수가 극단적 탐욕일시 시장을 과매수 상태로 판단해 보수적인 투자 방식을 취하고 공포탐욕지수가 극단적 공포일시 시장에 공포가 만연해 과매도 상태로 판단해 공격적인 투자접근을 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투자하는 기준이 되는 지표로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 그중에서도 공포와 탐욕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활용한 투자 방법입니다.

    • 먼저 공포지수가 높게 나온다는 것은 투매하는 심리가 올라가기 때문에 주식들이 헐값에 나올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매수 진입을 하면 이익을 보는 것입니다

    • 반면에 탐욕지수가 높으면 현재 주식시장에 거품이 끼는 과정으로 거품이 터지기 전에 매도하고 나오는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 공포탐욕지수는 0부터 100까지 숫자로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는 지표를 말합니다. 0에 가까울수록 주식이 과도한 매도 상태를 의미하며 투자자들의 심리는 공포 단계로 해석할 수 있고 반대로 100에 가까울수록 과도한 매수 상태로 주식이 과열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공포 탐욕 지수는 미국 CNN 엔에서 만들어서 발표하는 것입니다. 찾는 방법은 네이버 검색창에서 공포 탐욕 지수라고 검색하면 바로 사이트가 검색됩니다

    단계는 총 5단계로 나눠져 있는데 익스트림 피어 피어 뉴트럴 그리드 익스트림 그리드 이렇게 5단계 입니다

    그리고 숫자로도 표시되어 있습니다. 숫자 부분을 활용해서 투자를 하시거나 아니면 극단적 공포 또는 극단적 탐욕 부분을 이용해서 하셔도 됩니다. 예를 들어 극단적 탐욕 부분에서는 팔구 극단적 공포 구간에서는 매수하는 것입니다

  • 공포 탐욕 지수(Fear and Greed Index) 활용 방법.

    CNN비즈니스 홈페이지에서 공개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는 주식시장의 7가지 지표를 종합해서 0에서 100까지 점수를 계산해 점수가 0에 가까울수록 공포, 100에 가까울수록 탐욕적인 시장으로 해석합니다.

    공포가 왔으면 사면되고, 탐욕이 왔으면 팔아야 된다는 신호입니다.

  • 질문해주신 공포탐욕지수 활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토팜욕지수는 시장의 과열이나 침체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수가 극도의 공포 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투자자들의 공포심리가 극에 달해

    주가가 바닥권에 근접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 공포탐욕지수 확인관련, VIX 지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BOE)에서 제공하는 지수로 옵션 가격 변동성을 통해 미래 시장 변동성을 예측합니다. 지수가 높을수록 변동성이 크고, 낮을수록 변동성이 작다는 의미입니다.

    CNNMoney 공포탐욕지수는 VIX 지수, 주식 시장 변동성, 거래량 등 10가지 지표를 종합하여 0에서 100까지 수치로 나타냅니다.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공포,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탐욕을 의미합니다.

    지수가 낮고 극단적인 공포가 나타나는 시점은 매수 기회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지수가 지속되지는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수가 높고 극단적인 탐욕이 나타나는 시점은 매도 기회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수가 높아도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매수가 유리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그러나 공포탐욕지수는 단순히 시장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일 뿐이며, 투자 판단의 유일한 기준으로 활용해서는 안 됩니다. 투자 결정 전에 기업 분석, 경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가치투자가 느리게보여도 가장 바른 투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