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블랙홀은 어떻게 해서 생겼났을 까요?

블랙홀은 어떻게 해서 생겼났을 까요?

불랙홀은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고 들었습니다. 빛도 빠져 나올수 없다고 합니다.

그런 불랙홀은 어떻게 해서 생겼을까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입니다.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될 수 있습니다.

    • 블랙홀은 중력의 당기는 힘이 너무 강해서 빛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파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우주 공간이다. 물질은 만유인력에 의해 모든 다른 물질을 잡아당기는 힘을 낸다. 모든 물질은 중력을 갖고 있다. 우주 공간에서 물질이 어떠한 이유로든 작은 공간에 압축되면 강한 중력이 발생해 주변의 물질을 당기게 되고, 점점 커진다. 이렇게 물질이 많이 압축돼 중력이 빛을 빨아들일 정도가 되면 블랙홀이 된다.

      출처 :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7994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시 블랙홀은 빅뱅 직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주가 폭발하면서 팽창하는 동안 존재하는 물질 일부의 밀도가 극에 달하며 형성됐다는 것이다. 항성 블랙홀은 큰 별의 생애 마지막인 사멸 과정에서 중력으로 인해 붕괴하면서 탄생한다. 이때 붕괴로 인해 항성이 폭발을 일으켜 며칠간 밝기가 100만 배 이상 세지는 초신성 현상이 나타난다.

      초대질량 블랙홀은 아직 그 기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블랙홀이 위치한 은하와 동시에 형성됐다고 본다. 태양 질량의 수십 배에서 수천 배의 블랙홀이 별 폭발로 형성돼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성장했을 것이라는 설, 우주 초기 물질이 모였으나 별이 형성되지 못하고 붕괴하면서 형성된 항성 블랙홀이 커진 결과라는 설이 있다.


    • 별의 수명이 다하게 되거나 우주 공간의 어떤 물질이 작은 공간에 압축되면

      그 공간에 강한 중력이 발생합니다.

      이 강한 중력이 주변의 물질을 당기게 되고, 심지어 빛조차 빨아 들입니다.

      이것이 계속 커지면 블랙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