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온습도가 서로 다른 , 두 공기가 혼합될 때 , 두 공기간에 작용하는 압력이 계산 가능한가?

건물에 있어서

마감이 제대로 된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골조를 짓고 이런저런 과정을 다 거친후에

건물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내부 마감과 외부 마감이 꼼꼼히 잘 되는게 정상이겠지요

하지만

부실공사나 공사기간이 갑자기 단축되어 어쩔수 없이 날림으로 할 경우

이런 내 외부 마감이 부실한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이렇게 마감이 제대로 작업되지 않을 때

각 종 틈새로 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런 부분들을 하나하나 찾기가 상당히 힘이듭니다.

그런 유입되는 외기로 인해 냉방이나 난방에도 상당히 많은 문제가 생기는 와중에

그렇게 뚫여 있다해서 무슨 외기 공기가 들어오냐 하는

믿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요

일단 그런 경우로 인해

냉방중인 실내의 공기과 더운 외부의 공기가 섞이고 있는 경우라면

이렇게 온 습도가 확연하게 다른 두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상태라면

두 공기간에 작용하는 압력은 어떻게 계산 가능한가요?

더 높은 온도와 더 많은 습도량(상대습도는 낮을 지라도 절대습도가 높음) 을 가진 외기가

밀고들어오는 압력을 대략 계산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온습도가 다른 두 공기가 혼합될때 밀고 들어오는 압력은 직접 계산보다 압력차에 의한 공기 유동으로 이해합니다.

    주요인은 온도차(밀도 차이로 인한 스택 효과)와 바람에 의한 압력입니다. 습도차도 공기 밀도에 영향을 주지만, 그영향은 온도차나 바람에 비해 미미합니다.

    이러한 압력차를 통해 틈새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계산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결국 두 공기가 만나는 직후가 아닌 계산은 섞인 결과물에 대해서 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을 돌리면 이러한 과정을 흐름 순으로 볼 수 있죠.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다른 두 공기가 혼합될 때 직접적으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실내가 냉방 상태고 외부가 덥다면 저층에서 외기가 유입되어 공층에서 공기가 빠져 나가게됨에 따라 건물내부에

    압력 분포가 생깁니다. 이는 실제로 틈새의 크기와 위치 및 바람의 속도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틈새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