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

동남아지역에서 한족은 어떻게 정착할 수 있었나요?

동남아지역에는 그 지역토착민보다 중국인이 경제나 정치에서 더 많이 장악하고 있는데 보통 외부인은 배척되기마련이데 어떻게 토착민보다 더 많은 기득권을 가질 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해외에서 거주 하는 중국인들을 보통 화교 라고 합니다. 이러한 화교들이 외국에 갔을 떄 제일 먼저 하는 것이 바로 경제권을 장악 하는 것 입니다. 더군 다나 중국인들은 이스라엘 인들과 함꼐 세계에서 제일 장사속이 좋은 민족이라고 정평이 나 있습니다. 일례로 , 인도네시아 100대 부자 중 79%, 상위 10명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은 화교입니다. 또한 상장 기업 가운데 70% 이상이 화교 기업이고, 그렇기에 인도네시아에서 '슈퍼리치(재산 10억 달러 이상 보유자)'라고 하면 대부분 화교를 떠올립니다. 전체 인구의 약 4%인 화교가 국가 경제의 70%를 좌지우지하는 '슈퍼파워'를 가진 셈 입니다. 이렇게 그 나라의 경제권을 장악 하면 그 나라의 정치권까지 영향을 확대 하는 것은 식은 죽 먹기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남아 등 해외에 거주하는 중국인과 대만인들을 화교라고 하는데 화는 중국인 스스로 자신들을 화인이라 부르는 것에서 비롯되었고 교는 거주한다는 것입니다. 화교들은 전 세계에 1800만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중 90%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미얀마 필리핀 홍콩 타이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화교들은 대부분 유통과 금융을 중심으로 경제분야에 진출하여 현정권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여러 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경제력과 배타적인 민족 중심의 단결력이 현지 주민들의 반감을 일으켜 민족 갈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