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때 왕들은 왜 내탕금을 따로 가지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때 왕들은 왜 내탕금을 따로 가지고 있었나요? 이 내탕금은 왕의 개인 자산이였나요?
근데 왕이면 나라의 모든 것이 다 왕의 재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조사를 해본 결과 선시대 때 왕들은 내탕금을 따로 가지고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왕의 사유재산을 보관하기 위해서
조선시대에는 왕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재산을 내탕금이라고 불렀습니다. 내탕금은 토지, 노비, 곡물, 돈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왕은 내탕금을 통해 자신의 생활비, 궁궐의 수리비, 신하들의 포상을 위한 비용 등을 충당했습니다.
왕의 재량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조선시대에는 왕이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재정적인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국가 재정은 대부분 조세와 공납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재정은 대부분 국가의 운영과 백성들의 복지에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왕은 자신의 재량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재원이 필요했습니다.
왕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조선시대의 왕은 신하들에게 봉록을 지급하고, 군대를 유지하고, 외교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재원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왕의 권위가 필요했습니다. 내탕금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왕의 재정적인 자립을 통해 왕의 권위를 유지하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내탕금은 왕의 개인 자산이 아니었습니다. 왕은 내탕금을 사용할 때 반드시 관료들의 승인을 받아야 했습니다. 또한, 내탕금은 왕의 사후 국가에 귀속되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내탕금은 완전히 임금의 사유 재산입니다.
조선은 유교국가로서 국왕의 통치를 성군, 왕도로 목표를 두고 유교에서 신하들과의 공치라는 이상, 현실적인 상황ㅇ으로 국가의 공적인 예산을 국왕의 사적인 행위에 동원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반해 내탕금은 왕실의 개인자산이니 왕실 마음대로 사용할수 있어 여론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