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공교육과 사교육의 격차는 얼마나 큰 걸까요?

공교육과 사교육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 궁금합니다 나아가서 이러한 공교육을 개선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요즘 우리나라 사교육비가 연간 25조원이 넘는대요..

    특히 서울 강남 지역의 고등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89만원 정도인데 반해 지방 중소도시는 그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고합니다..ㅜㅜ

    주된원인은 당근 입시중심의 교육이죠. 대학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학교 수업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끼는 학부모들이 많구

    또 학교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한꺼번에 가르쳐야 하다 보니 개별 학생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어려운 것도 사실이죠..;;

    공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우선 교사 1인당 학생 수를 줄여서 더 밀착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게 중요한데 현재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거든요.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의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행정업무를 줄여서 수업 준비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필요해요 또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을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겠죠..?

    입시 제도의 개선도 필요한데요 수능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과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해요 그래야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봅니다.

    결국 이게 공교육이 학생들의 실질적인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하는데

    이는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있는 일은 아니겠죠 교육당국과 학교 학부모가 함께 노력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 우리나라의 공교육은 국가에서 내려진 지침에 의해 정형화된 지식과 인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그러나 사교육은 고등학교나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교육합니다. 당연히 대학진학에 유리하지요. 그러니 공교육이 등항시 될 수밖에 없습니다. 공교육 개선방양은 공교육만 받고도 대학에 쉽게 진학할 수 있는 입시제도개혁이 필요합니다.

  • 공교육은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을 가르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입시와 관련한 내용을 가르치기도 하지만 사교육보다는 제한되는 점이 있습니다. 사교육도 나름의 장점이 있으므로 사교육을 무조건 배척하지는 말고, 공교육의 장점을 좀 더 살려서 학생들이 보편적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