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먹을때 노란약먹으면 왜 잠이오는걸까요?
감기약을 처방받았는데 기침 가래 콧물 이렇게 받았습니다.
약사분께서 노란색약을 가리키면서 이거 콧물 약인데 졸음이 올수있다하더군요.
실제 먹으니 약간 나른하고 잠이옵니다.
노란 콧물약 먹으면 왜 잠이 오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노란색 약 중 콧물약 또는 알레르기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약은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 성분의 '페니라민정'과 같은 항히스타민제들입니다. 우리 몸에서 히스타민은 콧물,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이기도 하지만 중추신경의 흥분성(각성)과도 관련이 있는 물질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이런 히스타민의 효과를 억제해서 중추신경에서 진정작용을 일으킵니다.
우리 몸에는 외부 물질이 뇌로 쉽게 들어가지 못하게하는 혈관-뇌 장벽(BBB: Blood-Brain Barrier)가 있습니다. 세대가 낮은 항히스타민제는 혈관-뇌 장벽을 잘 통과하여 중추신경에서의 히스타민의 효과를 억제해 졸음 부작용이 더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노란색 콧물약의 성분인 클로르페니라민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로 혈관-뇌 장벽을 잘 통과하는 항히스타민제로 졸음의 부작용이 큰 약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노란색 약이라면 항히스타민제일것 같습니다.
이 계열의 약들은 중추신경계에서 히스타민의 각성작용을 억제하여 졸음을 유발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노란색약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페니라민정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당 의약품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해서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졸음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고, 해당 부작용을 이용하여 수면유도제로 따로 나오는 성분들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중추신경계를 통과하는 약이기때문에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졸음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킨다면 진료를 볼 때 말씀하세요.
안녕하세요. 진태웅 약사입니다.
처방받으신 콧물약은 페니라민등의 항히스타민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중추를 억제하는 효과로 졸음,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페니라민정을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이 약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로서 졸음 부작용이 강합니다.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이어서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어떤 약인지 이름을 알려주시면 확인하고 답변이 가능합니다
아마 노란색 약은 항히스타민제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할 경우 약의 작용기전 상 자연스럽게 졸음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약이 독하거나 몸에 부담을 주어서 그런 것은 아니므로 너무 걱정하시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 조작 시에는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말씀하신 노랑색 약은 아무래도 클로르페니라민 성분의 약일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 약은 항히스타민계열이라는 약인데 해당 약이 뇌혈관장벽을 통과하여 릴렉스되는 작용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졸음이 나타나는 것이며 즉 이는 약을 복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해당 현상이 과도하면 졸음 부작용이 덜한 다른 종류의 항히스타민 약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콧물약에는 대부분 항히스타민제가 들어가는데 항히스타민제는 중추에 작용해 졸음과 진정을 유발하기 때문에 나른하거나 졸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노란약이 페니라민정일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약은 항히스타민제로 졸음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약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 하지만 히스타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뇌에서 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히스타민을 억제하기에 졸음이 오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 ^^ 항상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