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약물에 내성이 생기면 체내 약물 농도가 전보다 빠르게 감소하나요
어떤 한 약물을 동일한 양으로 복용했을때, 그 약물에 내성이 있다면 처음 복용했을 때보다 약물의 농도가 더 빠르게 감소하나요? (처음 복용했을때와 내성이 생긴 후 복용했을 때, 둘다 같은 양으로 복용했다는 전제 안에서요..)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내성이 생긴다고해서 약물 농도가 전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지는 않습니다.
약물 대사효소는 그대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내성이 생긴다고해서 체내 약물 농도가 내성이 생기지 않았을 때보다 더 빨리 감소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내성이 생긴다고해서 대사가 더 잘되는 것은 아닙니다.
약이 세포 수용체에 덜 작용하기에 효과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지는 않고 작용하는 수용체의 갯수가 늘어나서 기존의 양으로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던지 이런식입니다. 반감기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일부는 맞는 말입니다.
일부 약물들의 경우 대사 효소의 활성을 높여 약물이 분해되는 속도를 빠르게 만듭니다. 그렇게 되면 같은 양을 복용해도 분해가 빨라져 효과가 금방 사라지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알코올이 있습니다. 술은 먹다보면 주량이 늘어나는데 이것이 위와같은 기전에 의해 나타납니다.
반면 또 다른 약물들은 약물을 지속 복용하게되면 그 약물이 작용하는 수용체의 저항성이 발생하여 약효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양을 복용해도 수용체의 활성에 차이가 나므로 약효가 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보통 약물의 내성은 약물의 농도는 그대로 이지만 수용체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져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에 약물 농도가 더 빠르게 감소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항상건강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