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다양한 종교가 다양한 종교활동을 하는데 수용가능 문화 정신적인 기반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가 조선시대에서 근대사회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교가 다양한 종교 활동을 할 수 있게 수용가능한 문화 정신적인 기반은 무엇인가요? 다른 국가에서는 한 두개 종교만 크게 공존하는데 우리나라는 정말 세계의 종교가 모두 있는것 같아요 그런데 종교 분쟁은 발생하지 않고 우리나라가 이렇게 다양한 종교가 수용 할 수 있는 정신적인 기반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우리나라의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역사적으로 시기마다 유행했던 여러 종교들이 있다 보니 우리 민족의 뿌리에 각 종교들이 녹아있어 거부감이 덜 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신교, 천주교 등이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고, 조선이 유교국가로서 종교적 기능을 어느 정도 하여 생활종교로서 자리잡은 측면이 있을 것입니다. 불교 또한 조선시대 때 탄압받아 위축되어 주도적 종교가 나타나지 않아 갈등을 흡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사회갈등이 이념, 지역, 정치로 강하게 나타나 종교는 사회통합적 기능을 수행한 현대사의 토대도 갈등을 방지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