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4.11

며칠전 간만에 이틀동안 내린 비로 주차장 바닥이 미끄러웠는데..

새로 지은 아파트이고 주차장도 일부 외부로 노출된 부분도 있어서 주차장 1층이 다소 물기가 있는 상태인 줄 모르고

주차장 입구로 들어서서 회전을 하는데 타이어에서 뿌득뿌득하는 소리가 들리더라구요

왠지..물기때문에 타이어가 원만하게 접지되지 않고..일부 접혀지는 듯한 느낌이랄까...

여튼, 마른 조건일때와는 다르게 미끄러짐과 동시에 매끄럽지 않게 회전되던데..

주차장 바닥에 물기가 있을때 회전은 어떤식으로 하는게 안전에 도움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노면이 도로와 달리 매우 매끄럽기 때문에 매우 미끄럽 습니다.

    그래서 속도를 내서는 안되며 서행이 기본입니다.

    회전시 최대한 저속으로 하시고 갑자기 핸들을 꺽는 행위를 해서는 안될 듯합니다.

    사방을 잘 주시하여 회전을 하시면 될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있는 바닥에서 바퀴의 회전 운동은 천천히 할 수록 안전합니다. 그 이유는 바퀴의 회전속도에 따라 수막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수막현상은 바퀴의 회전을 따라 물이 빨려 올라가며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현상이 발생할 시 바퀴는 순간적으로 지면과의 접지를 잃어버려 마찰력이 상실 됩니다.

    그러므로 물이 있는 바닥에서는 속도를 천천히 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닥에 물기가 있거나 얼어있는 상태에서는 속도를 줄여서 지나가는게 좋습니다.


    빠른속도로 가게되면 순간적으로 미끌림이 발생을해 통제력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한번잃어버리면 관성에 의해 쉽사리 재통제가 어렵습니다.


    물이 고여있는 그리고 얼음이 얼어있는 곳을 지나갈때는 저속으로 지나가는걸 권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주차장 바닥에 물기가 있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물기로 인해 차량이 미끄러워 움직이기 어렵고, 미끄러운 바닥에서의 회전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래는 주차장 바닥에 물기가 있을 때 차량을 회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속도와 RPM 조절

    : 차량의 속도와 RPM(Revolutions Per Minute)를 조절하여 물기로 인한 미끄러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런 가속이나 무리한 RPM을 피하고, 차량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조절하세요.


    브레이크 사용

    : 물기로 인해 차량이 미끄러울 경우 브레이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속도를 줄이고, 차량의 움직임을 조절하세요. 브레이크를 급격하게 밟지 않도록 주의하고, 부드럽게 브레이크를 사용하세요.


    바퀴 방향 조절

    : 차량의 바퀴 방향을 조절하여 회전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미끄러운 바닥에서는 바퀴가 미끄러워 회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차량의 바퀴를 조금씩 움직여 가면서 회전하도록 조절하세요.


    토크 변화

    : 차량의 토크(엔진의 동력)를 조절하여 미끄러운 바닥에서의 회전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엔진의 토크를 조절하려면 액셀(가속)을 조금씩 풀어주거나, 엑셀을 약하게 밟아 토크를 조절하세요.


    연습과 경험

    : 물기가 있는 주차장에서의 회전은 경험이 많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미끄러운 바닥에서의 회전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며, 차량의 반응을 파악하고 조절하는 데에 경험이 누적되면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그만큼 마찰력이 줄어듭니다. 어떤 타이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 타이어라고 가정한다면 뿌득뿌득 소리나며 회전하는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안전을 위해서라면 속도를 낮춰 회전을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회전을 하게 되면 원심력이 작용하는데, 원심력은 곧 속도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