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별이 유난히도 밝은...
별이 유난히도 밝은...

백제 22담로의 제도는 무엇이며 어느지역을 관리하며 다스린건지 궁금합니다.

삼국시대 백제의 22담로는 어떤제도였으며 어느지역을 관리하고 다스린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관리하고 다스리던 지역은 어느계급의 신분자가 파견되었습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의 지방 행정조직은 그 권한이 오늘날과 달리 막강했습니다. 지방관은 군사, 행정, 사법의 권한을 모두 가졌습니다. 한편으로 고대국가는 중앙집권체제를 지향하는데 이는 중앙에서 지방으로 관리를 파견해 통치함을 의미합니다. 백제는 한성시기가 전성기로 4세기 후반 근초고왕이 대표적입니다. 고구려에 의해 한강 유역을 빠앗기고 개로왕이 죽게 되어 백제는 수도를 웅진으로 옮기게 됩니다. 오늘날의 공주입니다. 이 지역이 협소하고 새로이 정치세력을 재편하고 백제 중흥의 기치를 펼치며 성왕대에는 부여로 옮기는데 사비시대입니다.

    사비시대 무령왕이 지방특별행정구역으로 22담로를 설치하는데, 왕족이나 측근을 파견해 지방장악력을 높이고자 햇던 것으로 보입니다. 담로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특별행정구역이었다고 보는 설이 있고, 일반행정구역을 재번했다고 보는 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양쪽 모두 지방에 왕권을 미치는 목적은 같았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담로는 성을 의미하는 백제어 다라 혹은 드르를 한자어로 표기한것으로 여겨지며 지방을 통치하기 위한 거점으로서의 성과 그 통치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지역을 의미한다 그곳에 왕의 자제와 종족을 보내 다스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22담로는 중국 역사서 양서-백제전에 등장합니다

    백제는 전국에 22담로를 설치하고 그것에 왕의 자제와 종족을 다스리게 파견합니다

    담로를 왕족에게 나누어주는 봉지로 이해하고 백제에서 봉건제가 시행된다는 의견도있습니다

    하지만 담로에 파견된 왕족은 지방관의 성격이 더 강하여 지방제도의 하나로 보는것이 더 타당합니다

    무령왕은 즉위 초부터 왕족을 대외전쟁과 지방통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무령왕대에 22개의 담로를 설치함에 지방통치를 담당하였는데 담로의 책임자로 자제종족을 파견합니다

    왕족의 지방파견으로 인해 지방토착세력은 중앙의 통치질서 안으로 편입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