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추마취 후 뇌척수액 누출 시 등에서 액이 만져지나요?
마취 다음날 누출된 용액이 등에서 만져졌는데요. 이후 일주일째 두피가 꽉 조이는 두통, 눈 못 뜨는 시야 불편이 있어요..
근데 등을 만져도 추가적으로 액이 만져지지는 않는데, 그럼 이제는 안새고 있는건가요? 아니면 마취 부위 안쪽 내부에서 새고 있을 수도 있는건가요? 이 경우 등이 부ㅅ는다던지 하나요?ㅜ
자세히 도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뇌척수액이 필요이상으로 유출되게 되면 두통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통 카테터를 빼고나서 일시적으로 유출이 있을 수 있지만 점차 구멍이 막히면서 유출이 멈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내부에서 새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척추 마취후에 4시간 정도 잘 누워계신다면 척수액이 더 새지는 않습니다. 지금 등에서 물기가 없다면 이미 막힌것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내부에서 계속 새기는 어려구요. 두통은 일시적으로 있을 수는 있지만 진통제를 드시면서 관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관을 제거한 상태에서는 내부의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사진의 자국은 수액의 일부가 흘렀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뇌척수액이 안쪽에서 새고 있었다면 두통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그럴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비 바늘 정도로 마취를 하게 되어
이는 바늘을 빼는 순간 척수강에 뚫렸던 위치는 막히게 되며 근육이나 다른 부분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진료를 다시 받아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며 척수 마취 부위에 부종이나 염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뇌척수액이 상처를 통해서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그리고 뇌척수액이 줄어들어서 두통이 생겼을 경우 1주일까지 오래가지 않습니다.
피부에서 생긴 상처를 통해서 체액이 빠져나왔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런데 마취바늘을 넣은 부위에 소독을 하고 거즈같은 드레싱용품으로 덮어놓지 않으셨나요?
안에서 뇌척수액이 다른 부위로 흘러내리고 있을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