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우리나라에는 왜 오소리가 많이 서식하지 않는 것인가요?

혹자는 상서로움의 상징이라고 하는데요. 금일 뉴스에서 지리산에서 7년만에 포착되었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서 들판에서 살지 않는 오소리가 살기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왜 우리나라에는 오소로가 잘 살지 않는 것인가요? 혹시 먹이사슬에서 먹잇감이 부족하거나 많이 사냥당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소리의 서식지가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드물게 보이는 이유는 몇 가지 환경적, 인간 활동 관련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오소리는 주로 숲과 같은 자연 환경에서 생활하며, 주로 땅을 파고 들어가는 생활을 하기 때문에, 그들의 서식 조건에 맞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오소리는 척추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생명체이며,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족제비과 동물로 밀렵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므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종입니다. 도시공원과 해상 국립공원을 제외한 전국 산지에 서식하고 있으나 개체군 밀도가 감소하고 있는데요, 산림이나 계곡 주변, 목초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지만 산림 지역 개발과 건설 등에 의한 서식지의 파괴, 단절 및 밀렵이 개체수 유지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한국에 오소리가 잘 살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소리는 주로 평야나 건조한 환경보다는 숲이나 수풀 등의 보호구역에서 생활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이 있어서 오소리가 살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만, 도시화와 개발로 인해 오소리의 서식지가 감소하고 파괴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도심지나 농경지에서는 인간과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서 오소리가 쉽게 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먹이사슬에서 먹잇감이 부족하거나 사냥당하는 이유도 오소리가 적응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높아서 다른 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소리 역시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 오소리가 많이 서식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와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 농약 사용 증가로 인한 먹이 감소, 과거의 무분별한 사냥, 그리고 로드킬 등이 있습니다. 오소리는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데, 우리나라의 산림 파편화와 개발로 인해 적합한 서식 환경이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오소리의 주요 먹이인 지렁이나 곤충류가 농약 사용으로 감소했고, 과거에는 모피를 위한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오소리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지리산에서의 발견은 환경 보호 노력의 결과일 수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보호 대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사실 과거에는 한국 전역에 오소리가 서식했지만, 산림 개발과 도시화로 인해 서식지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오소리는 울창한 숲을 선호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서식지 파괴는 오소리 개체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라 볼 수 있죠.

    또한 오랫동안 오소리 기름과 쓸개가 약재 및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어 밀렵이 심각하게 이루어고, 이러한 남획은 오소리 개체수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게다가 유럽산 너구리와 같은 외래종이 한국에 유입되면서 오소리와 먹이와 서식지를 놓고 경쟁하게 되며 오소리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개와 여우로부터 전파되는 질병 또한 오소리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었는데 특히,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야생 오소리는 쉽게 감염되어 사망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