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나른한군함조207
나른한군함조207

빗썸에 고정형 스테이킹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빗썸의 고정형 스테이킹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지금 솔라나를 소액으로 스테이킹하고 있는데요.

과거에 자유형 스테이킹이랑 고정형 스테이킹이 달라서 문의 드립니다.

자유형 스테이킹때는 스테이킹 보상 수령할때마다 '자산현황에서 확인되는 평균단가'가 낮아졌습니다.

그래서 고정형 스테이킹도 똑같을거라 생각하고 스테이킹을 했는데요.

고정형에서는 오히려 '자산현황에서 확인되는 평균단가'가 높아졌습니다.

근데 고정형 스테이킹 보상에서 보여지는 설명에서는 보상으로 받는 스테이킹은 매수가가 '0'이라 평균단가가 낮아진다고 설명이 되어있거든요.

자유형 스테이킹때도 0의 매수가 자산이 추가돼서 평균단가가 낮아졌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고정형 스테이킹때는 보상받을때마다 평단이 높아지는게

이상해서 상담사한테 문의를 했는데 뭔 규칙이 달라진다면서,

고정형 스테이킹에서 보여지는 평균단가는 낮아지지만,

자산현황에서는 시세로 보상이 추가되기 때문에 평균단가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지만 자유형 스테이킹때나 고정형 스테이킹때나 둘 다 수익중이었습니다.

시세가 반영되어 추가되었다면 자유형 스테이킹때도 평단이 올라갔겠죠.

그래서 상담사에게 '자유형 스테이킹 할때는 자산현황에서 보여지는 평균단가도 떨어졌었다. 이건 왜그런거냐' 라고 물었는데 자유형이건 고정형이건 시세가 반영된다고 하더라구요..

이게 맞는 답변인가요?

자산이 0으로 보상받으면 고정형이건 자유형이건 자산현황에서도 평균단가는 낮아져야 정상 아닌가요?

다른분들은 어떤지 의견도 듣고싶고, 상담사의 답변이 맞는지 고수님들께 여쭙고 싶습니다.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정형 스테이킹은 고정비율로 스테이킹을 하는 것으로 추후에 이자를 지급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수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스테이킹을 통해 매매를 진행하지 않을떄에는 자산을 늘리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스비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담사가 하는 말 중에 제일 중요한 말이 시가를 반영한다는 말이죠!!

    스테이킹 보상은 자유형이건 고정형이건 솔라나가 들어올때 당시 솔라나 가격 즉 시가반영해서 들어옵니다

    그러니 시가로 들어오는게 질문자님 평균가보다 낮게 들어오면 평단가가 내려가고 평균가격보다 시가가 높으면 들어오는 가격도 높으니 평단가가 올라가죠!!!!

    어렵게 생각할거 없이 스테이킹 서비스 어느 거래소를 이용하건 보상으로 들어올 당시 거래가격으로 매수가가 잡혀서 평단가가 계산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