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뚫은지 1년이 지났는데도 안나아요
작년 2월에 금 재질 귀걸이로 귀를 뚫었는데 아직도 각질이 생기거나 냄새가 나는 등 덧나는 느낌이 있습니다ㅠ 중간에 바꿔 낀 적은 없고 제때 잘 씻는데 왜이러는걸까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귀를 뚫은 지 1년이나 되었는데도 증상이 지속된다니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금속 알레르기나 귀걸이 관리 소홀, 또는 드물게는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우선 귀걸이를 빼고 해당 부위를 소독하고,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심해진다면, 피부과나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귀를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현재 상태를 알기 어렵습니다만 귀를 뚫은 부위의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당분간 귀걸이 착용을 피하고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진찰을 받을 것을 먼저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귀걸이를 한 지 1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각질이 생기고 냄새가 나는 등의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많이 불편하실 것 같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 귀걸이 구멍 주변의 피부가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금속 알레르기 같은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금은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덜 일으키지만, 금속 성분의 혼합물에 일부 반응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귀걸이를 착용하는 동안 작은 상처가 생기거나 미세한 감염이 진행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귀걸이를 장기간 착용하면서 생긴 염증이나 미세한 상처로 인해 불편함이 지속되는 경우, 귀걸이를 착용하지 말고 귀를 쉬게 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귀걸이 착용을 잠시 중단하고 귀걸이 구멍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귓불을 부드러운 비누와 따뜻한 물로 잘 씻어주고, 필요한 경우 소독제를 사용해주면 좋습니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귀걸이를 뚫은 부위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귀걸이 소재를 다른 것으로 바꿔보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니켈 프리 소재, 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 같은 저자극성의 소재로 된 귀걸이를 선택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만약 이러한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 더욱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귀를 뚫은 지 1년이 지났음에도 각질이 생기고 냄새가 나는 경우, 귀걸이 부위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았거나 만성적인 염증 상태일 수 있습니다. 금 귀걸이라고 해도 도금이거나 합금일 경우 피부가 금속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해 상처가 아물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특히 샤워 후 귀 주변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거나, 잠잘 때 압박이 가해지는 습관이 있다면 회복이 더뎌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귀걸이를 한동안 빼고 상처 부위를 깨끗이 유지하면서 회복 시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주일 이상 귀걸이를 빼지 못했다면, 병원에서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항생제 연고나 스테로이드 크림 등을 처방받는 것이 도움이 될 듯해요
이후 귀걸이를 다시 착용할 때는 의료용 티타늄이나 14K 이상 정금 제품처럼 알레르기 가능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피부과 진료를 받아 감염이나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