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28

왜 뻐꾸기는 자기가 새끼를 안 키우나요?

뻐꾸기는 남의 새 둥지에 알을 낳고 도망가는 새로 알려져 있잖아요.

왜 뻐꾸기는 자기가 낳은 알을 돌보지 않고 도망가는건가요?

그리고 그 뻐꾸기 새끼는 자라서 왜 남의 알을 밀어버리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뻐꾸기의 생존전략입니다.

    자연선택설에 의해 설명되는점이 많고, 열에 아홉은 속이다가 걸려도 한번의 성공을통해 현재까지 잘 번식해왔기 때문에 전략을 변경하지 않고있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뻐꾸기는 일반적으로 둥지를 만들고 새끼를 낳아 기르지만, 일부 뻐꾸기 종류는 새끼를 다른 새끼를 돌봐주는 "조수 새끼"에게 맡기는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조수 번식"이라고도 불리며, 새끼를 낳고 난 뒤 새끼를 다른 새끼에게 맡기는 뻐꾸기의 행동으로, 다른 새끼를 돌보면서 자신의 새끼를 더 많이 낳을 수 있는 이점을 취하는 것입니다.

    조수 새끼를 돌보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가장 큰 이유는 뻐꾸기의 생존 전략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뻐꾸기는 자신의 새끼를 직접 키우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조수 새끼를 돌보는 것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뻐꾸기는 불안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번식 전략으로 산란을 선택하게 됩니다. 뻐꾸기는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을 선호하며, 사실상 새끼를 키우지 않습니다. 이것은 알을 낳고 적절한 장소에 묻은 후, 새끼가 부화하고 스스로 먹이를 찾도록 하는 것입니다. 뻐꾸기는 이러한 산란 전략으로 번식하므로 다른 조류와는 다르게 새끼를 키우지 않습니다. 또한 뻐꾸기의 산란 시기는 계절적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새끼를 키우는데 들이는 비용과 에너지가 산란이 제한된 기간에 낭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일 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8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뻐꾸기의 진화적 전략으로, 자신이 키울 시간과 노력을 아끼고 다른 새의 새끼를 빼앗아 키워 자신의 유전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뻐꾸기가 지금까지 생존을 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입니다. 이를 자연선택설이라고 하는데요. 뻐꾸기 입장에서는 뻐구기 전체 종족에 대한 생존 가능성을 더 높힌 선택이죠. 이렇듯 자연이란 정말 신비한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뻐꾸기는 때때로 다른 새들의 둥지에 알을 낳습니다. 이것은 뻐꾸기의 번식 전략 중 하나로, 둥지를 만들지 않고도 자신의 유전자를 유전적으로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데 성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기생이라고 불릴 만큼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행동이긴 하지만, 뻐꾸기는 자신의 알을 둥지에 낳은 새의 알들과 섞여 있는 것처럼 위장하며, 새끼가 부화하고 성장할 때까지 둥지를 방문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뻐꾸기는 자신의 새끼가 부화하고 성장할 때까지 알의 부화와 성장을 돕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이 다른 새의 새끼를 죽이거나 그들의 둥지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뻐꾸기의 이러한 행동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