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나른한레오파드283
나른한레오파드283

식후두근거림,역류성 식도염 위염 연관있나요?

29세 여자입니다 검은색 동그라미 부분 통증이 있습니다(통증 있는 순간에 눌렀을땐 아픈지 모르겠어요)통증은 기름진 음식이나 면 , 등을 먹었을때 조금더 심한거같구요 음식이 완벽하게 소화가 된거같으면 사라지고 두근거림도 사라집니다 (빨리뛰거나 숨이 차진않고 두근거림이 느껴지는 정도에요)통증 정도는 심하진 않고 신경쓰이는 정도로 욱신 거리고 지속시간은 한번 욱신 거리고 끝나고 또 한참 뒤에 욱신 거리고 한쪽씩 번갈아 가며 통증이 있구여 , 기본 피검사에서 중성지방?이 평균조다 조금 높기는하나 약먹을 정도 아니고 물많이마시면 좋다고 하셨고 , 심장검사는 ct.mri.24시간 심전도 빼고 다했습니다 병원에서 이정도만해도 충분하다 , 다른검사는 필요하지않다고 하셨구요 일자목이 있어서 목뒤 통증이 있습니다

1.제 증상은 어떤것과 제일 연관이 있을까요ㅠ위염 역류성 식도염 약 복용중입니다 , 과잉진료를 막고자 질문드립니다ㅠ(노루모 라는 역류성 식도염 약을 원래 식전에 먹고 자기전에도 먹는데 저녁식전에 노루모 먹고 통증이 있을때 자기전 약을 먹으면 괜찮아지는거 같아요!두근거림도ㅠ 통증도,,

2.이게 만약 역류성 식도염 때문이라면 약조절없이 그냥 지금처럼 약을 먹어도될까요?뭔가 시원하게 낫지않고 꽤 오래가는것 같아서ㅠ 다른원인일까 질문드립니다)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일단 심장의 문제 가능성은 떨어지시는 것 같고, 역류성 식도염 가능성이 높으니 약을 먹으며 증상 조절이 되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으며 불안하다고 하시면 위내시경을 시행하시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1. 말씀하신 내용을 토대로 보았을 때 심장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증상이며, 그나마 식도염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 지금처럼 약물을 복용하셔도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경우에 해당부위에 통증이 있을수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이 생기는 이유는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이 낮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인데요. 이외에 불규칙한 식습관도 주요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다른 병을 가지지 않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1. 식도괄약근의 힘을 약하게 하는 음식이나 음료를 삼가합니다.

    예) 술, 커피, 탄산음료, 튀김, 기름진 음식, 초콜릿, 케첩, 머스터드, 아스피린 등의 진통소염제

    2. 과식을 피합니다.

    3. 비만인 환자는 체중을 줄입니다.

    4. 금연을 합니다. 흡연은 하부식도괄약근의 운동을 방해합니다.

    5. 식사 후에 위산이 잘 역류되므로 식사 후에 곧바로 눕지 않습니다.

    6. 심한 식도염인 경우는 취침 시 머리 부분을 높게 합니다.

    이렇게 하시고도 반복되는 증상에 불편하시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원인을 파악하시고 치료방법을 찾는것이 좋울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검사를 다 하였는데 이상이 없었다면 역류성 식도염 약을 먹고 나서 호전 보였다면 역류성 식도염이 맞겠지요.

    약 먹고 호전 보였다면 다른 약을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하다면 내시경 등 하면 도움 될 수 있겠으나 너무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식후 두근거림은 조금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은 증상은 타오르는 듯한 가슴통증입니다. 위험인자로는 음식 복용후 바로 눕는 습관, 과식, 흡연, 음주 등이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내과 방문하셔서 내시경 검사, 약물치료 함께 병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