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검사시 나오는 고밀도와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요?
콜레스테롤 검사에 나오는 총 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는 총 콜레스테롤은 경계치 이지만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아 약물 치료를 제안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계산식은 총콜레스테롤 = LDL(저밀도 콜레스테롤) + HDL(고밀도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5 입니다.
HDL콜레스테롤은 세포로부터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여 간에서 콜레스테롤을 대사하게 하는 청소부의 역할을 하므로 쉽게는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합니다. LDL콜레스테롤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콜레스테롤입니다. 동맥경화의 주범으로 LDL이 혈관 사이로 들어가고 혈전이 쌓이면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LDL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이라면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총콜레스테롤은 저밀도 및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합친 수치이며, 저밀도는 나쁜 콜레스테롤 그리고 고밀도는 좋은 콜레스테롤입니다. 즉, 총 콜레스테롤이 괜찮더라도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낮고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다면 고지혈증이 있는 것이라 보아야 하며 약물 치료의 적응증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을 경우 혈관벽에 찌꺼기가 쌓여 관상동맥 질환이나 뇌경색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콜레스테롤 중에서도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수치가 높은 것이 좋지 않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수치가 높은 것이 좋습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다면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고지방 식이나, 운동량이 적은 경우 잘 발생하기 때문에, 식습관과 운동습관들 잘 가지는 것이 예방과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식단은 지방이 많은 식단은 제한하고 채소류를 많이 먹는 것이 도움됩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도 고지혈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도움이 됩니다. 운동의 종류는 상관없으나 하루에 30분 이상 땀나고 숨찰정도의 운동량이 달성되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었길 바랍니다.
질문자님께서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버튼을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을 드리는데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