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역사적으로 조선의 인구가 후기에 감소한 이유가 뭘까요?

조선은 건국 초기에는 인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후기에 들어와서는 인구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무슨 이유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인구 변화는 다양한 역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농업 생산력, 전란과 정치적 혼란, 그리고 왕들의 정책 등이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조선시대의 호적과 양안 자료를통해 이러한 인구 변화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의 구조와 변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조선 후기에는 농업생산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18세기 영조와 정조 시기에

    사회적 안정을 바탕으로 오히려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 시기의 인구는 약 10백만 명에서 12백만 명에 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19세기에는 19세기 초반까지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약 18백만 명에서 20백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는 농업 생산력의 한계와 각종 자연재해, 그리고 내부적인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인구 증가가 둔화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