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품서용 제도란 무엇이였는지 궁금합니다.
현재에도 우리사회를 지탱하고 있고 사회적 질서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건 다양한 법과 제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조선시대에도 굉장히 다양한 형식과 여러 종류의 제도,체계들이 존재했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 한품서용 제도라는게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조선시대에 있어서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관리를 서용하는 제도 입니다.
한품서용법의 기원은 이미 신라의 골품제와 고려시대의 관리서용법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대체로 조선 초기에 이르러 정비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품서용
고려와 조선시대에 신분이나 출신에 따라 일정 품계 이상의 관직에 오를 수 없도록 규정한 제도.
삼국시대의 골품제도는 이같은 한품서용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이후에는 사회신분을 크게 귀족·평민·천민으로 나누었는데, 이들 내부에서도 적서(適庶)·입사로(入仕路)·관직에 따라 일정한 제한을 두었다. 이것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무능한 자가 고위관직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의미도 있었다. 그러나 일반평민에게는 군역의 대가로 향리·서리를, 공장(工匠)이나 차비(差備)·악공과 같은 자들에게는 사역의 대가로 관직을 수여하게 했다. 그러나 이들이 오를 수 있는 관직과 품계를 법제화함으로써 관직 획득을 통한 신분상승과 정치 참여를 제한하여 신분제를 엄격하게 유지하고, 관료제도 내부에서도 신분에 따른 업무분담이라는 원칙을 관철시킨다는 의미가 더욱 중요했다.
출처:다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정한 품계까지를 한정하여 서용하는 것으로 관원의 양첩, 천첩의 자손을 임용 시 부조의 품계에 따라 소정의 품계에까지 제한해 그 이상의 품계에는 서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 한품서용이란, 과거시험에 합격하지 않은 유능한 인재를 관직에 임용하는 제도입니다. 한품(寒品)은 문과(文科)에서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에게만 주어지는 품계입니다. 따라서 한품서용은 문과급제자와 동일한 품계를 가진 사람을 선발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품서용의 대상은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로, 문과급제자의 자격을 갖춘 유학자, 문학가, 예술가, 의학자, 기술자 등이 포함됩니다. 한품서용은 조선 초기에 유학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며, 조선 후기에는 실학을 장려하기 위해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한품서용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인재 등용 제도 중 하나였습니다. 한품서용으로 인해 많은 유능한 인재들이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으며, 조선 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 마디로 승진 한계 제도 입니다.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벼슬아치를 서용 (敍用)하거나 또는 그런 제도를 말하는데 양반은 정일품, 기술관과 양반 서얼은 정삼품 당하관, 토관ㆍ향리는 정오품, 서리는 정칠품까지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조선은 이러한 제도를 이용해서 출신 성분에 따라 신분 상승의 한계를 둠으로서 양반 중심의 귀족 사회를 영위해 나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