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탈노동을향하여
탈노동을향하여

요즘 방송에서 기후 비용이라는 것이 나오던데 이는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요즘 방송에서 종종 보면 기후 비용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나오는 듯 합니다.

아마도 기후에 관련된 비용에 대한 내용으로 들리는데

정확히 기후 비용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기후가 바뀌면 돈이 더 들어간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기후비용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경제적 손실에 대한 비용입니다. 즉, 지구온난화로 폭염, 폭우, 폭설, 한파, 가뭄, 태풍, 지진, 해수면 상승 등 기상이변으로 기존 인프라가 파괴되어 복구에 들어가는 피해복구비용,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후재해 대비를 위한 방재시설을 확충하고 보강하는 적응비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추고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 감축기술개발,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효율향상, 석탄발전소 폐쇄, 친환경에너지 전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 등 탄소중립 정책에 드는 비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후환경요금을 2021년 1월1일부터 전기요금 청구서에 별도항목으로 표기되어 고지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비용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함으로 탄소중립 정책 재원으로 사용되며 신재생에너지 및 기술개발 등에 투자되는 기후환경요금 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기후 비용이란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거나 대응하기 위해 드는 경제적 비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홍수, 가뭄, 폭염 등

    기후 재해로 인한 피해 복구 비용이 포함됩니다. 또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 기술 개발, 에너지 전환 비용도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기업이나 정부는 이러한 비용을 예산에 반영하거나 투자 판단 시 고려합니다.

    결국 기후 비용은 기후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한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기후 변화가 심해질수록 사회와 경제가 이를 대응하기 위해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 비용을 기후 비용이라고 하며, 대응이 늦어질수록 피해와 비용이 늘어나기에 미리 대비하여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