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남극의 해가 1년에 한 번만 뜨고 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남극에서는 1년에 해가 한 번만 뜨고 진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근데 이게 이유가 무엇인가요?

극지방이라서 그런거라면 혹시 북극도 1년에 해가 한 번만 뜨고 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남극이나 북극에서 백야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길게는 6개월 정도 낮이 계속된다고 합니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낮과 밤이 생기는데,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고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해가 계속 보이는 상황 (=낮이 지속됨) 이 발생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 기우렁져 있기에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각기 다른 게절을 만들어내게 하는것이죠~ 극지방은 자전축의 기울기에 의해 극단적인 낮과 밤을 가지게 하고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며 극지방은 6개월동안 낮이 6개월동안 밤이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남극에서는 9월 23일 무렵(춘분)에 해가 떠서, 그 이후 6개월간 해가 지지 않습니다. 이 기간을 남극의 극야 또는 백야라고 하며, 남극에서는 계속 낮이 지속됩니다. 그 후, 3월 21일 무렵(추분)에 해가 지기 시작하여, 그 다음 6개월 동안은 해가 뜨지 않고 계속 밤이 지속됩니다. 북극에서는 남극과 반대로, 3월 21일 무렵(춘분)에 해가 떠서 6개월간 해가 지지 않으며, 그 후 9월 23일 무렵(추분)에 해가 지고 6개월간 밤이 계속됩니다. 즉, 북극과 남극은 서로 반대되는 주기를 따릅니다. 극지방에서는 여름철 동안 태양이 밤에도 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북극에서는 5월~7월, 남극에서는 11월~1월에 백야가 나타납니다. 이 시기에는 태양이 하늘을 계속 돌아다니며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밤에도 하늘에 머물러 있게 됩니다. 반대로 겨울철에는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가 나타납니다. 북극에서는 11월~1월, 남극에서는 5월~7월에 극야가 발생하며, 이때는 낮에도 해를 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