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가 날수 있는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굉장히 무거운 비행기가 하늘을 날수 있는 과학적인 원리는 어떤게 있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그러한 과학적인 증명은 누구에 의해 밝혀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 원리는 양력과 추력 그리고 중력 항력이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비행기가 뜨는 가장 중요한 원리는 양력으로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은 베르누이의 원리입니다. 공기나 액체의 속도가 빠라질수록 그 압력이 낮아진다는 것을 설명하며 비행기의 날개는 위쪽은 곡선 아래는 평평하게 설계되는데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갈때 공기는 날개의 위쪽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아래쪽 공기는 비교적 느리게 이동하게 되는것이지요. 날개 위쪽에서 공기가 더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압력이 낮아지고, 아래쪽 공기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날개를 위로 미는 힘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행기가 뜨게 만드는 양력입니다. 또한 비행기는 날개에서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를 빠르게 통과해야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게 추력이지요.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게 되며 제트엔진이나 터보 프롭 엔진이 주로 비행기에 사용되며 엔진은 연료를 태우며 매우 빠른 속도로 뒤ㅉ고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반작용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내게 되는 뉴턴의 3법칙인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이용하여 설명하게 되는것이빈다. 중력은 지구가 비행기를 아래로 끌당기는 힘으로서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거나 날아다니기 위해 서는 중력에 반하는 충분한 양력을 가지게 합니다. 비행기가 무겁기때문에 양력이 중력보다 커야 비행기가 이륙할수 있게 해주며 항력ㅇㄴ 비행기가 공기 속을 지나가면서 받는 저항으로서 공기 입자들이 비행기 표면에 부딪히면서 비행기의 속도를 떨어트리려는 힘으로서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설계시키게 하는 것이지요. 비행기는 양력과 중력, 추력 항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안정적으로 날수 있게 해주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