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세련된오솔개112
세련된오솔개11223.01.06

소아과와 일반 진료의 차이점?

나이
19
성별
남성

아직 성인이 되지 않으면 종합병원에서 소아과를 안 내해주던데 소아과는 일반 성인 진료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그리고 소아과에서 받는 약은 효과가 덜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소아는 성인을 축소한 형태가 아닌 전혀 다른 한 개체로 진료시 감별할 진단 및 약물 등이 매우 달라 소아과에서 진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적정 나이와 체중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어 소아과 진료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흔히들 실수하는 것이 소아를 작은 성인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소아는 성인과 상당히 다른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소아와 관련된 가장 전문적인 진료를 소아청소년과에서 받아야 합니다. 소아과에서 받는 약이나 타과에서 받는 약이나 어차피 성분 및 용량, 용법에 따라 효과가 나타나므로 효과가 덜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성장기에 발병 질환의 케이스에서 차이가 있어 소아청소년과와 내과가 구분되어 집니다. 소아청소년과는 신생아부터 청소년을 진료하지만 15세이상 부터는 성인과 거의 유사해지므로 내과에서 진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소아의 경우 덩치가 크다고 하더라도 각종 내부 기관이 아직 덜 성숙한 상태라 성인과 똑같이 약을 쓰기는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소아과에 책에 보면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소아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 그만큼 소아에서의 약에 대한 반응이나, 질환의 경과가 성인과 다를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며, 소아의 경우 보다 전문화된 소아과 진료를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소아과라 하여, 약의 종류가 달라진다기 보다는, 소아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약의 용량이나 사용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소아는 작은 성인이 아니랍니다. 아직 자라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성인과는 다를 수 있는 것이지요. 약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체중에 맞게 조절하면 효과는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