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짱기이즈백
짱기이즈백22.12.11

채권투자는 어느정도 안전한가요?

주변에서는 채권이 주식보다는 안전하고 예금보다는 불안정하다고 하는데요. 채권등급따라 틀리다고도 하는데 채권투자를 한다고 하면 어느정도의 위험을 감수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도 등급이 있어요. 등급이 낮은 불안전한 채권은 높은 이자율을 쳐서 시장에 발행되지요.

    그 경우에는 주식보다 안전하다고 볼 수 없어요.

    다만, 채권은 이자율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식의 변동폭보다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투자를 하신다면 채권을 발행한 기관에 따른 신용위험을 감내하는 것입니다. 채권 투자를 하실 때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 발행기관의 신용평가등급 - [높을수록 금리는 낮음] [낮을수록 금리는 높음]

    • 채권의 발행기간 - [길수록 금리는 높음] [짧을수록 금리는 낮음]

    • 채권발행 업종 - [위험업종일수록 금리 높음] [양호한 업종일수록 금리는 낮음]

    지금은 회사채의 경우 특히나 금리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사의 신용평가 등급이 동일한데도 금리가 더 높은 경우는 최근 건설사와 같이 부실위험이 높은 업종이거나 혹은 건설사를 계열사로 둔 회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채권투자를 하실때는 위험을 감내하는 정도를 결정하실 때는 위와 같은 내용을 점검하시고 위험 감내수준을 따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건설업종에 대한 리스크를 감내하겠다라고 결정, 하지만 3개월이내는 부도가 나지 않을 것이니깐 3개월까지만 감내하겠다라고 하신다면 '건설업종의 3개월 회사채'를 매입하시게 됩니다. 다른 3개월 회사채보다는 금리가 높을테니깐요

    제가 예시를 들어드린것과 같이 '회사' + '기간' + '업종' 이 3가지를 고려하셔서 위험 감내 수준을 결정하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론 어떤 원칙은 없습니다.

    그리고 채권 중에서도 위험의 정도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국공채가 제일 안전하며 그다음이 은행채, 여전채, 회사채 등의 순서입니다.

    물론 금리는 안전할수록 낮고 위험도가 생길수록 금리도 높습니다.

    그리고 같은 회사채 안에서도 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위험도가 다 다릅니다.

    따라서 채권에 투자하실 때는, 특히 처음이시면 안전한 국공채 먼저 하시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투자는 국가나 기업이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과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용도가 낮은 채권에 투자하였을 때에는 리스크가 상당히

    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이란 정부나 공공기관 또는 기업이 비교적 큰 금액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입니다. 일종의 차용증서이므로 투자자는 이 차용증서를 받고,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고, 만기 시에 원금을 되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까지 가지고 계시면 위험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의 위험은 채권 발행자의 신용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국채는 예금정도로 매우 안전한 자산으로 볼 수 있지만 BBB미만의 투기등급 채권은 어느정도 부도 위험이 있는 채권이기 때문에 삼성전자 같은 초우량기업의 주식보다 위험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