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반도체하면 삼성이 아니고 sk하이닉스라던데요
예전부터 삼성이 반도체 는 1위였는데요 요즘은 삼성보다 sk하이닉스가 1위라던데요 언제부터 뒤집힌건가요? 어떻게 성능으로 이긴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에서 D램시장에서 삼성전자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그런 표현이 나온듯 합니다. 특히 HBM3에서 하이닉스가 아주 각광받고 있는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삼성은 여전히 글로벌 1위입니다. SK하이닉스는 D램 시장에서 기술력과 생산량을 늘리면서 점유율이 높아졌고 능력을 높여가고 있지만 삼성은 낸드플래시와 첨단 공정에서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답니다. 회사의 자본력과 능력으로는 언제든지 기술을 개발을 해도 이상하지 않은 회사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을 제치 시기는 올래 1분기 매출 기준으로 삼성 전자의 독주가 깨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앞서게 된 이유는 고대역폭 메모리 D램 시장에서 훨씬 더 빠른 속도와 큰 대역폭을 구현했기 때문에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HBM 시장에서 하이닉스 점유율은 70%를 기록하고 삼성은 10%대 머물게 되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삼성이 메모리 반도체에서 오랫동안 1위를 지켜왔지만 2023년 말부터 2024년 초 사이에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 분야에서 AI 수요에 맞춘 기술력과 공급 능력으로 급부상하며 시장 주도권을 일부 뒤집었습니다 SK하이닉스 HBM3, HBM3E 등 고성능 제품에서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점유율과 수익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삼성은 상대적으로 HBM 양산 안정성과 수율에서 다소 뒤처지며 이 시기 우위를 SK하이닉스에 내준 것으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고객사 유치가 SK하이닉스가 더 빨랐습니다. AI기술이 성장하면서 HBM 고대역폭 메모리의 수요가 급증하고 더 높은 성능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을 우선 선점하면서 엔비디아와의 협업으로 시장을 우선 장악했습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보다 우위를 점하게 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로 작동되면 정상 상태보다 발열이 약간 더 생길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오래 되거나 전압이 낮으면 내부 저항이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일을 하려면 더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되고 그만큼 열이 더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심하게 뜨거워지지는 않지만 장기간 반복되면 배터리 수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안에 들어 있는 셀은 보통 같은 전압을 갖고 있는데, 과충전이나 과방전이 되면 각 셀의 전압이 살짝 달라 질 수 있고, 기준을 벗어나면 셀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피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