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여름 아침에 호수가나 냇가등에서 피어오르는 아지랭이는 왜 생기는 것인가요?

보통 보면 호수가 그리고 냇가 등지에서 아침이 되면 안개처럼 물에서 피어오른 것을 아지랭이라고 부르는것 같아요. 그럼 아지랭이는 왜 생기는것인가요? 자연적인 현상으로 알고 있는데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지랑이는 지면이 빠르게 가열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낮 동안 햇빛이 강하게 비치면 지면은 빠르게 따뜻해지고, 이 열이 지표의 공기를 가열하면서 상승하는데, 이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차가운 공기와 만나서 공기의 굴절 정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물결치듯 아른거리게 보이는 것이 바로 아지랑이입니다.

    호수나 냇가에서 보이는 것은 어떤건지 정확히 모르겠는데,,일반적은 아지랑이가 나타날 만한 곳은 아닐거 같네요

    아지랑이 보다는 안개를 말씀하시는 것 같기도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호수나 냇가에 아침에 피어오리는 아지랭이는 증발과 응결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 현상입니다. 아침에는 일반적으로 밤사이 공기 온도가 떨어지며 수면 위의 공기는 차가워지게 됩니다. 호수나 냇가의 물은 밤사이에 열을 저장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물이 증발하며 따뜻한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서 응결되어 미세한 물방울인 안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물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공기중에 차가운 층을 만나게 되면 온도 차이로 인해 응결현상을 가지게 하고 우리가 눈으로 볼수 있는 안개나 ㅇ지랭이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아침시간대에는 대기가 일반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게 되어 바람이 거의 불지 않거나 매우 약하기에 수증기가 상공으로 바로 흩어지지 않게 되고 수면 근처에 머무르면서 아지랭이 같은 현상을 만들게 되는것이지요~ 안개와 아지랭이는 유사한 상황이며 안개는 넓은지역에서 공기중의 숮으기가 응결하면서 형성되지만 아지랭이는 주로 따뜼한 물 근처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