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기 냉방코일을 지난 공기의 통과온도 적정선은 기준이 어떻게되나?
공조기 에서 냉방을 하는 방식은
냉방코일을 통해 공기를 냉각 및 제습 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냉방코일을 지난 공기를
급기휀을 통해 공급하고
덕트를 통해 수송되어
실내로 각 취출구를 통해 급기 되는 방식인데요.
이것이
냉방코일의 방식이
직팽식이냐에 따라서도 다르겠고
냉동기를 통해 냉수가 공급되는 방식에 따라서도 다르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대형 공간 냉방 시
냉동기를 통한 냉수 공급으로 냉방을 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요.
그렇다면
냉수를 통한 냉방코일로 냉방을 할 때
공조기 내에서
냉방코일을 지났을 때의 공기의 적정한 설계온도는
기준치가 어느정도라 볼 수 있나요?
그리고 그럴 경우 취출온도는 어느정도가 된다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우선 냉방코일 후 공기 적정온도는 최대 14도/최소 11도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덕트는 그 보다 약간 조정된 평균 16도 수준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냉동기를 통한 냉수 공급 방식의 공조기 냉방 코일에서 공기가 냉방 코일을 지난 후의 적정 설계 온도와 취출 온도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냉방 코일 통과 공기 온도 기준
일반적으로 냉방 코일을 지난후 공기 온도는 약 14~18℃ 사이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냉수 온도(보통 7~12℃)와 냉방 부하, 제습 요구에 따라 달라지며 , 냉수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 온도도 더 낮아집니다.
냉방 코일 입구 공기 온도는 보통 24~27℃(건구온도 기준)이며, 코일을 지나면서 온도가 내려가고 습기도 제어됩니다.
취출 온도
냉방 코일을 지난후 급기 취출구에서의 공기 온도는 약 16~20℃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이는 실내 쾌적성을 고려한 온도로, 너무 낮으면 냉방병 우려가 있고 너무 높으면 냉방 효과가 떨어집니다.
취출 온도는 덕트 길이, 풍량, 실내 부하 등에 따라 약간 변동 될수있습니다.
참고 사항
직팽식 냉방과 냉수 코일 냉방은 냉수 온도와 코일 설계에 따라 다르므로 설계시 냉수 온도, 풍속, 열교환 면적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제습이 중요한 경우 냉방 코일 표면 온도가 노점 온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때 공기 온도는 더 낮아질수있습니다.
요약하면, 냉수 코일을 통해 냉방시 공조기 내 냉방 코일 통과후 공기 온도는 약 14~18℃, 취출 온도는 16~20℃ 범위내에서 설계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냉수를 이용한 냉방코일 통과 후 공기의 적정 설계온도는 일반적으로 14~16℃ 범위로 설정됩니다.
이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과냉방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치입니다. 다만, 실제 설계 시 건물 용도와 내부 부하에
따라 약간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설계 기준으로는 14-16도 수준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또한 실내온도 보다 10도 정도 낮게 설계하고 있지만 외부 조건 이라던가 부하 및 제습 에 따라 변경됩니다.
대형 공조기 경우 냉수 입구 온도는 7도정도 출구는 12도 정도가 표준적이라 코일을 지난 급기 온도는 14-16도
에서 20도 사이가 일반적이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