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많은 날은 왜 따뜻할까요?
최근 계속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많아서 외출이 힘든데 꼭 이런 날은 날씨가 따뜻하더라고요.
밖으로 나가서 놀고싶지만 그러지도 못하고 있는데 왜 따뜻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이런 날씨는 주로 대기 상태가 안정적이기 때문이에요. 마치 맑고 바람 없는 날처럼 말이죠. 보통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우리나라에 이동성 고기압이 자리 잡거나 기압 배치가 정체되어서 공기가 위아래로 잘 섞이지 않고 바람도 약해요.
이렇게 대기가 안정되면 오염 물질들이 위로 퍼져나가지 못하고 지표면 근처에 그대로 쌓이게 되는데, 이때 햇볕이 비추면 지표면 가까이 갇혀 있는 공기가 서서히 데워져요. 바람이 잘 불지 않으니 데워진 공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머물면서 기온이 올라가는 거죠. 결국, 미세먼지가 많은 날은 대기가 안정되어 오염 물질이 갇히고, 그 상태에서 햇볕에 의해 공기가 데워지면서 따뜻하게 느껴지는 거랍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 입자는 태양광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이 입자들이 태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열을 다시 방출하여 대기 중의 온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온도가 조금 더 따뜻하게 느껴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봄이 오면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도 함께 찾아오고 있습니다.
특히 봄에 미세먼지가 많은 이유는 중국과 몽골 등에서 발생하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되면서 주변 기류 변화에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의 산업시설과 화력발전소 및 자도차 등의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발생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미세먼지 유입으로 대기가 정체 현상이 발생하면 미세먼지가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여 봄철 황사와 겨울청 난방사용 증가로 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효과는 보이고 있지만 계절적인 요인과 중국, 몽골에서의 유입으로 미세먼지는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인위생관리에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외출 시 손씻기를 생활화하고, 외출 시 마스크 착용, 공기청정기 사용 등을 생활속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차가운 공기는 지표면에 깔리고 그 위로 따뜻한 공기가 위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오염물질 지표면 근처에 갇히게 되며, 고기압 상태가 지속되면 가뭄이나 열대야 같은날 에
미세먼지가 배출되길 어렵워 집니다. 또한 기온 상승으로 대기중 습도 변화가 미세먼지 농동에 영향을 주어
복합적으로 따뜻한 날씨를 초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