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은 어떻게 정하나요?
몇 년동안 공무원의 인금 인상률은 0.9%, 1.4%, 1.7%, 2024년에는 2.5%로 알고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에 비해 임금 인상률이 적다보니 실질적인 인상률은 마이너스 인데 임금 인상률은 어떻게 정하나요? 최저임금상승률을 바탕으로 정하는 것인가요? 물사 인상률과 같은 종합적인 부분을 고려하나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날카로운갈매기574입니다.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국가공무원법 제46조에 따라 정해집니다. 해당 조항에 따르면, 공무원의 보수는 일반의 표준생계비, 물가수준, 그 밖에 사정을 고려하여 정하되, 민간부문의 임금수준과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최저임금 인상률, 물가상승률, 민간부문 임금 인상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2024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이 2.5%로 결정된 것은, 최저임금 인상률(2.5%)과 물가상승률(2.6%)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다만, 민간부문 임금 인상률은 3.8%로 공무원 임금 인상률보다 높기 때문에, 실질적인 인상률은 마이너스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행운의담비288입니다.
공무원 월급 인상율은
최저임금 인상율, 예상물가상승율,
국가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