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대조표 불황이 뭔지 궁금해여
대차대조표 불황이 뭔지 궁금해여
중국이 경기침체로 대차대조표 불황이라는데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차대조표 불황이란 자산가격 하락으로 부채 부담이 커진 가계와 기업이 이전보다 부채 상환과 축소에 집중함에 따라서 소비 및 투자가 위축되면서 나타나는 경기 불황을 뜻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 빚이 많아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내놓아도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기업이나 가계의 부채 부담이 커졌을 경우 경제 주체는 차입금을 최우선적으로 상환하기 때문입니다.
이 개념은‘잃어버린 10년’으로 불리는 1990년대 일본의 장기 불황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에서 나온 것으로 리처드 쿠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 연구원이 이 용어를 만들고 이론을 정립했습니다.
그 이후 세계 각국의 불황을 설명하는 일반 용어가 됐다. 미국에선 벤 버냉키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007년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 언급하면서 주목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차대조표 불황이라고 하는 건 부채가 증가하고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되면서 가계와 기업이 부채상환을 하는 것에 집중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불황을 말하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차대조표란 보통 회사에서 차변과 대변을 수이과 지출로 나누어서 기록하는 회계 장부 이지요. 1990년대부터 장기불황에 빠져 있는 일본이 대차대조표 불황의 대표적 예로 꼽히는데 1990년대 초반 일본 기업들의 대차대조표상 대변(자본ㆍ부채) 항목의 부채는 급격히 늘어나는 반면, 차변에 있는 자산(부동산)가격은 계속 떨어지자 부채를 감소시키기 위해 투자를 하지 않으면서 경기가 더욱 침체에 빠졌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중국 기업들이 과거 일본 기업처럼 이렇게 경기 부동산 가격 악화로 인해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나 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차대조표 불황이란 부채가 증가하고, 자산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계와 기업이 부채 상환에 집중하다가 발생하는 경기침체 현상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