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통화량 관련 내용 중에 MV=PY가 뭐죠?

통화량 관련 공부를 하다가 통화 유속이란 말도 나오고 하는데 MV=PY라는 식이 나옵니다 이게 뭐죠? 그리고 △M+△V 라는 것도 나오는데 여기서 세모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교환 방정식 MV=PY



    M: 현재 유통 중인 통화량 (통화 공급량)


    V: 화폐의 소득 유통 속도 (또는 일정 기간 돈 한 단위가 쓰인 횟수의 평균 값)



    P: 물가 수준


    Y: 실질 산출량 (실제로 만들어져서 팔린 상품 및 서비스)



    좌편 MV 는 총 지출, 우변 PY 는 명목가치. 따라서 이 둘은 동일하다는 단순한 회계 항등식이 된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MV = PY는 통화량(M)과 물가수준(P)이 경제 활동의 총액(Y)에 영향을 주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M은 통화량을 나타내며, 경제 내에 순환하는 화폐의 양을 의미합니다. P는 물가수준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Y는 경제 활동의 총액 또는 총생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GDP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이 식은 경제 활동에 따라 통화량과 물가수준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M과 V는 통화량과 통화 속도를 의미합니다. V는 통화 단위당 GDP를 지원하기 위해 통화가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며, M × V는 경제 활동의 통화 수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MV = PY 식은 통화량과 통화 수요가 경제 활동과 물가수준에 비례한다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이 식은 경제 이론과 정책 분석에서 사용되며, 통화량 변화가 경제 활동과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mv=PY는

    m은 통화량 v는 화폐유통속도

    p는 자산의 가격 y는 총생산량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