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아시아국에 비해서 원화 환율 절하폭이 큰이유는?
다른 아시아국에 비해서 원화 환율 절하폭이 큰이유는?
미국 강달러라서 다른 아시아국들도 통화가 절하된건 알고 있는데요
유독 한국이 아시아 톱급 원화 절하가 된 배경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 환율 절하폭이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 큰 이유는 다음과 같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특징과 대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1. 높은 대외 의존도
- 한국 경제는 수출 주도형 구조로,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합니다.
- 특히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 등은 가격 변동성이 크며, 이는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2.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입
- 한국 금융시장은 개방도가 높아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입에 민감합니다.
-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글로벌 자금 이동이 원화 가치에 큰 영향을 줍니다.
3. 지정학적 리스크
-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가 원화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한반도 긴장 고조 시 외국인 투자자금이 이탈하며 원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4. 경상수지 악화
- 높은 에너지 가격,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한국의 경상수지가 악화되면 원화 절하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5. 상대적으로 낮은 외환보유고
-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절대액으로는 크지만 GDP 대비로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 이는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의미합니다.
위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미국 금리 인상, 글로벌 경기 둔화,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 등의 상황에서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정부와 한국은행이 시장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안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중국이 경기가 좋지 못하기에 중국의존도가 크기에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에 따른 한국 증시 약세와 한국은행의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파적 입장이 타국보다 환율절하 큰 배경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내수경제가 대외경제 대비 비중이 작고, 작년까지 무역적자를 기록하면서 원화가 많이 절하 되었습니다. 또한 금융시장의 개방성이 높아 외국인 투자자금 비중이 높은데 외국인의 자금이탈이 이루어지면서 환율이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제 구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중동 원유 의존도가 크고 유가에 영향을 받는 산업 비중도 큰 편입니다. 또한 수출 주도라 외부 충격에 약한 측면도 있습니다. 원화가 준기축통화가 아닌 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마국, 일본, 유로존과 달리 내수 경제 규모도 크지 않아 내수로 경기를 부양하기에 애매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