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입김 후후보다 하하가 더 따듯한 이유
겨울에 추우면 입김이 나오잖아요
그냥 후후 불면 차가운 바람이 나오는데
하하 하고 천천히 불면 따듯한 이유가 뭔가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이 나가는 속도가 다르기 떄문인데, 후후는 빠르게 나가서 차가워 지고 하하는 천천히 가기 떄문에 체감적으로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하 ~ 는 입모양을 넓게 벌려 공기를 내보내기 떄문에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이는 거의 없기 때문에 온도변화는 크게 없는데
호~ 는 입모양을 좁게 하여 공기를 내보내게 되는데 빠른 속도로 강한 압력으로 밖으로 빠져 나오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넓은 곳으로 팽창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빠져나온 공기는 외부에서 열을 받지 못하고 팽창하기 때문에 원래 온도를 잃어 버려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열팽창' 때문입니다.
'하하'하는 입김은 입을 크게 벌리고 바람을 천천히 내보내지만 '후후'하는 입김은 입을 작게 벌리고 바람을 빠르게 내보냅니다.
그래서 '하하'하는 경우, 입안의 공기가 어느 정도 온도를 유지하면서 손등에 닿아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손이 따뜻하게 느껴지는 반면 후후'하는 경우, 빠른 속도로 강한 압력으로 빠져나온 공기는 입 밖으로 나오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넓은 곳으로 팽창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순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입 밖의 다른 공기의 열을 받을 여유도 없이 바로 단열 팽창 하여 기체의 온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입김 후후와 하하가 나오는 이유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방울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입김 후후는 냉각된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의 크기가 작아서 빠르게 증발하여 차가운 바람이 느껴지게 됩니다. 하지만 입김 하하는 냉각된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증발하는 속도가 느려 따뜻한 바람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따라서 입김 후후보다 입김 하하가 더 따뜻한 이유는 물방울의 크기와 증발 속도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추우면 입김이 나오는 이유는
호흡을 통해 몸 안의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호흡을 빠르게 하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 많은 따뜻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후후 불면 차가운 바람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하하 하고 천천히 불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좁아져 따뜻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양이 줄어듭니다.
천천히 불면 공기가 더 많이 증발하여
공기 중에 있는 수분도 따뜻한
공기를 붙잡아두는 역할을 합니다.
하하 하고 천천히 불면
따뜻한 바람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후후 불 때는 공기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공기 분자가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이 공기를 데우면서
차가운 바람이 나오게 됩니다.
하하 하고 천천히 불 때는
공기의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공기 분자끼리의 충돌이
적어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하 하고 천천히 불면
따뜻한 바람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