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두부 만들때 간수라는걸 넣는 이유는요?

두부를 만드는걸 봤어요.

두부 만들때 간수 라는걸 넣는다는데

이걸로 두부를 응고 시킨다고 합니다.

다른걸로는 응고 시킬 수 없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류호연 영양사
    류호연 영양사
    프리랜서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전에는 응고제로서 간수를 썼으나, 근년에는 황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루 응고제를 사용한다. 응고제가 염화마그네슘이냐 황산칼슘이냐에 따라 두부의 맛이 달라진다고 한다.

    두부 만들 때 넣는다고 하는 석고가 황산칼슘이다. 칼슘 영양제로 들어가는 성분 중 하나이다. 황산칼슘을 사용하면 두부를 굳히기 쉬워지고 식감이 부드러운 대신 맛이 연해진다.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하면 두부가 단단해지고 맛이 달며 진하다. 같은 양의 콩을 썼을 때 황산칼슘 쪽이 3~4배 많은 두부를 만들 수 있고, 유통기한도 길기 때문에 지금은 효율적인 대량 생산과 이윤 추구를 위해 황산칼슘을 주로 쓴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영양전문가입니다.

    간수를 넣으면 응고도 되지만 두부의 간을 맞추는 역활을 합니다. 그리고 강수 말고도 식초나 이런것으로 됩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