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

스노브효과와 베블런 효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스노브효과라는 것과 베블런효과라는게 있는데 이 둘의 정의를 보면 일견 비슷해 보이는데 이 둘의 차이가 어떤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스놉효과 효과의 ‘스놉(Snob)’이라는 단어는 잘난 체하는 속물을 의미하는 단어를 의미하는데, 마치 까마귀 떼 속에서 혼자 떨어져 고고하게 있는 백로의 모습과 같다고 해서 ‘백로 효과’라고 부르기도 해요. 이러한 스놉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고가의 제품이나 혹은 소비가 많은 제품의 양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과시효과를 주도록 만들게 되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스놉효과의 예로는 연예인들 몇몇이 다시 유선이어폰을 끼고 다니는데, 일반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에어팟이나 버즈등의 무선이어폰의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과는 다른 행동으로 이러한 행동들이 스놉효과라고 볼 수 있어요

    그리고 베를런 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인 베를런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 단어로서, 상류계급층의 소비 문화인 과시 욕구의 소비로 가격이 오르거나 턱없이 비싼 가격임에도 일부 계층이 과시욕이나 허영심등으로 인해서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말해요

    이러한 베블런 효과는 남들이 보면 속물이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한다고 하여서 '속물근성'에서 유래하게 된 속물효과와 비슷한 단어이며 이를 활용한 마케팅으로는 백화점의 VVIP 마케팅이 이러한 베블런 효과를 활용한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스노브효과는 많은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에 대해 구매를 꺼리게 되는 소비효과를 말한다. 타인과 차별성을 강조하고 싶은 심리로 인해 발생한다. 편승효과(밴드왜건 효과)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특정 상품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 받는 다는 측면에서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의 하나로 설명되기도 한다. 주로 고가의 명품에 대한 소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당 상품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희소성이 낮아져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고 선택을 바꾼다. 마치 우아한 백로처럼 보이고자 한다는 측면에서 백로효과라고도 불린다. 속물효과는 패션산업에서 기업들이 마케팅 수단으로도 자주 활용되는데 이를 악용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속물효과는 값비싼 상품일수록 수요가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베블런효과와 혼돈되기 쉽지만 베블런효과는 구매자의 과시욕에 의한 것인 반면 속물효과는 타인의 소비량에 영향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스놉 효과는 어떤 상품에 대한 사람들의 소비가 증가하면 오히려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효과를 말하며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 스노브효과는 초기에는 작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져나가는 현상이며, 베블런 효과는 초기에 크게 나타나다가 후에는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스놉효과는 어떤 상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게 되면, 오히려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노스페이스가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아지면서 오히려 수요가 줄어든 것이 그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베블런 효과는 과시적 소비로 인해 가격이 비싼 제품이 오히려 수요가 많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명품이 그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 질문하신 스놉 효과와 베블런 효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베블런 효과는 명품 구매를 통해서 과시를 하는 것이라면

    스놉 효과는 아무리 명품이라고 하더라도 구매자가 많아져서 시중에 흔해지면

    나는 구매하지 않겠다라고 하는 소비 심리가 스놉 효과입니다.

  • 스노브효과와 배블런 효과는 모두 소비자 행동과 관련된 경제학 개념이지만 동기와 영향력이 좀 다릅니다. 스노브 효과는 특정한 상품이 대중들에게 널리 소비될 때 소비자 수요가 감소되는 현상입니다. 이것은 소비자가 대중과 차별화되는 욕구에서 비롯되지요.

    반면에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상승할 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상품을 소비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그 상품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건 상품이 사치품일 때 나타나며 상품 고가 자체가 상태여서 높은 가격이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 먼저 각각의 개념을 알아보고 차이점을 말씀드릴게요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하고 소비자가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해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주로 명품이나 고급 자동차 등의 고가 제품에서 나타납니다.

    반면에 스노브 효과는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꺼리고, 자신만의 독특한 취향을 추구하는 현상을 말하고 소비자가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된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기 위해 독특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흔하지 않은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의 차이는 베블런 효과는 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중점을 둔 반면, 스노브 효과는 소비자의 취향과 선호도에 중점을 둡니다.

    한단어로 하면 베블런은 과시, 스노브는 개성 입니다.

  • 안녕하세요~

    스노브 효과는 개인의 독특한 취향과 가치관을 드러내는 소비에 초점을 맞춥니다.

    베블런 효과는 사회적 지위와 부를 상징하는 소비에 초점을 맞춥니다.

    스노브 효과와 베블런 효과는 모두 소비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핵심적인 목적과 소비 대상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스노브효과는 다수가 소비하는 상품이 오히려 구매를 꺼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명품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더이상 특별한 상품으로 인식되지 않아 수요가 감소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반면 베블런 효과는 가격 상승에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으로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며, 고가의 상품들이 경제 위기에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스놉효과는 타인의 소비에 민감하게 반응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게 되면 자신도 영향을 받아 다른 제품을 이용하는 현상을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

    베블런 효과는 그에 반해, 제품 가격에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제품보다 비싼 제품을 선호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