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적 의사결정을 하는 소비자는 구매의사결정을 다 하나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단계는 문제 인식, 정보탐색, 대안평가, 구매, 구매 후 행동으로 이뤄지잖아요. 제한적 의사결정자는 이도 저도 아닌 사람인데 이걸 다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구매 단계에서는 신속하게 결정을 내리고, 구매 후 행동 단계에서도 만족도나 후회가 크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제한적 의사결정자는 모든 단계를 거치지만, 각 단계에서의 정보 탐색과 평가가 간소화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나 노력을 최소화하려는 소비자의 심리에서 비롯됩니다.
제한적 의사결정자라 하더라도 '문제 인식, 정보 탐색, 대안 평가, 구매, 구매 후 행동'의 모든 단계를 거칩니다.
다만 각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일부 단계에서는 수동적으로 참여합니다.
제한적 의사결정자는 문제 인식 단계에서는 문제를 인식하지만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하지 않고, 대안 평가 단계에서는 몇 가지 대안을 고려하지만 적극적으로 평가하지 않습니다.
또 구매 단계에서는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하지만 구매 후 행동 단계에서는 구매 후 만족도를 평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적 의사결정자는 구매 결정을 할 때 자신의 선호도보다는 주변 사람들의 의견이나 추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한적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주변 사람들의 의견이나 추천을 강조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리면
제한적 의사결정을 하는 소비자는 구매 의사결정의 모든 단계를 거칠수는 있지만, 각 단계에서의 깊이와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보 탐색과 대안 평가에서 간소화된 과정을 통해 빠르게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고, 그들은 문제를 인식하고 필요한 정보를 최소한으로 수집하며, 신속하게 결정을 내리고 후속 행동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