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8

실제 온도와 체감온도는 왜 차이가 나는 건가요?

추운 겨울 영하의 날씨때 실제 온도는 영하 10도면 사림이 체감하는 온도는 영하 15도 이런 식으로

차이가 난다는데 어떤 이유로 인해 그런건지 궁굼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느낌온도’라고도 부르는데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체가온도는 날씨가 추운 날에 바람까지 불 때 자주 얘기합니다.

    생각하기에도 아주 추운 겨울날, 바람까지 세게 분다면 몸으로는 느끼는 추위는 훨씬 더 추울 것이 분명하잖아요..

    체감온도를 정확하게 말하면 ‘실외에 있는 사람이나 동물이 바람과 한기에 의해 노출된 피부의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그런데 체감온도는 사람 피부의 열 교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사람의 몸은 누구나 알고 있는 것처럼 36.5~37℃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죠..

    그런데 겨울철에는 대부분 기온이 우리 몸의 체온보다는 낮기 때문에 우리 몸의 열은 주변의 공기를 덥히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열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물리학의 원리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죠

    바람이 부는 겨울 날씨에 몹시 춥게 느끼는 것은 사람의 몸에 의해서 데워진 공기가 새로운 찬 공기와 빠르게 교체되고..

    바람이 거의 없는 날에는 몸 근처의 공기가 거의 움직이지 않아 몸의 열을 덜 빼앗기게 됩니다.

    하지만 바람이 세게 불면 계속적으로 공기가 교체되기 때문에 우리 몸으로부터 훨씬 많은 열을 새로운 공기에게 빨리 빼앗기게 되죠

    바람이 세면 셀수록 우리의 피부에 접촉하는 공기의 양은 더 커지며 따라서 우리의 몸에서 빼앗기는 열은 그만큼 많아져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이랍니다...이리하여, 실제온도와 체감온도의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나 바람 등을 고려해서 사람이 체감적으로 느낀다고 가정하는 추상적인 온도다. 그러나 사람신체가 정밀한 온도계도 아니고 모든 사람이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며 문화나 정서적 기호와 선호도가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체감이란 주관적일수 밖에 없어 객관적 지수로 나타낸다는 것은 신빙성에 큰 결점을 갖고 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기온과 체감온도의 차이는 두 가지의 차이점은 기온과 바람이 결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체감 온도라는게 외부에서 부는 바람과 노출된 피부에서 열을 뺏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 지수입니다.

    즉 체감온도 계산 공식은

    13.12 + 0.6512T - 11.37V0/16 + 0.3965 V0.16T 예요.

    해당 공식에서의 T는 기온을,V는 풍속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과 체감온도의 차이는 풍속에서 온다. 겨울철에는 외부 기온이 체온보다 낮아서 우리 몸의 열은 주변의 공기를 덥히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바람의 세기에 따라 열을 빼앗기는 정도는 다르다. 만약 바람이 세게 분다면 인체 주위의 공기가 빠르게 교체되면서 우리 몸은 더 많은 열을 빼앗긴다.

    그래서 실제온도와 체감온도가 다른 것이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외부에 노출된 피부가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사람들이 느끼는 온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감온도를 '느낌 온도'라 부르기도 하고, 상대적인 온도입니다.

    반면, 실제온도는 온도계가 측정한 기계적인 온도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체감온도와 실제온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