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APPLEB
APPLEB

저축은행의 부실도 가끔씩 나오는데요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은 어떻게 평가를 하는가요

사실 예금자 보호 한도가 1억원으로 상향이 되었는데요 그리고 특히 저축은행'

같은 경우에는 부실 은행도 있는것 같은데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은 무슨

지표를 봐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BIS 자기자본비율 / NPL 비율(부실채권비율) / 고정이하여신비율 / 연체율 당기순이익 및 ROA 등을 파악하시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맞습니다만 일반인이 이 비율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금융사별 신용평가사 등급을 보고 1차적으로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의 재무건전성은 BIS자기자본비율(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연체 3개월 이상 부실채권 비율), 당기순이익, 유동성비율 등 4대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BIS 비율, 연체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부실채권 비율 등을 보게 됩니다. 금융감독원 자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는 BIS 비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을 통해서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내 자본이 높은 저축은행은 버티겠지만 고정이하여신 즉 부실 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내 예금을

      보장해줄 능력이 없는 은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 평가는

    자본 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등을

    기반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 얘기 나오면 다들 좀 불안해하죠. 뉴스에서 부실 터졌다 이런 얘기 종종 들리니까요. 근데 실제로 재무 건전성은 몇 가지 지표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 제일 많이 보는 게 BIS 자기자본비율인데 이게 은행이 얼마나 버틸 체력이 있는지 보여주는 숫자라 보면 됩니다. 또 연체율이 얼마나 되는지도 중요합니다. 돈 빌려간 사람이 제때 갚고 있는지 그 비율이니까요. 건전성이 좋은 은행은 연체율이 낮고 자본비율이 높습니다. 그리고 금융감독원 사이트 들어가면 저축은행별 공시가 다 올라와 있어서 거기서 자산건전성 비율이나 수익성 지표 같은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