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한 나라의 국가경쟁력은 무슨 지표가 높아야 좋은건가요?

가계부를 써보면 알지만 벌어들인 돈이 많으면 적자

들어온 돈이 많으면 흑자 가계부인데요.

나라도 마찬가지 개념일 거 같은데요,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면

어떤 지표가 좋아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지표의 몇 가지 예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GDP 성장률: 국가 경제의 성장 속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GDP 성장률은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 1인당 GDP: 국가의 경제 규모를 인구로 나눈 값입니다. 1인당 GDP가 높을수록 국가 주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실업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입니다. 실업률이 낮을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무역 수지: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입니다. 무역 수지가 흑자일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플레이션율: 물가 상승률을 나타냅니다. 인플레이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교육 수준: 국가 주민들의 교육 수준은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의 혁신 능력이 높아지고 경제 성장이 촉진됩니다.

      • 혁신 수준: 국가의 기술 개발 능력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혁신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정치 안정성: 국가의 정치 체제가 안정적일수록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경제 성장이 촉진됩니다.

      • 기업 경쟁력: 국가 기업들의 경쟁력은 국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입니다. 기업 경쟁력이 높을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궁금하신 내용이 해소되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나라의 GDP 성장률과 1인당 GDP 등이

      높아야 국가경쟁력이 발전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경제적으로 강력한 국가로 평가됩니다.

      또한 교통, 통신, 에너지 등의 인프라가 발달되어 있을수록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의 국가경쟁력을 평가하는 지표는 다양하지만,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1. 경제성장률과 1인당 GDP: 경제성장률이 높고 국민 1인당 GDP가 높을수록 국가의 경제력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무역수지와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면 국가의 외환보유고가 늘어나고 대외신인도가 향상됩니다.

      3. 산업 경쟁력: 주력 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기술력, 생산성 등이 높으면 국가 전체의 경쟁력도 강화됩니다.

      4. 인적자본: 교육 수준이 높고 숙련된 노동력을 보유한 국가일수록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5. 혁신 역량: 연구개발(R&D) 투자, 특허 출원, 벤처기업 수 등 혁신 지표가 우수하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6. 제도와 인프라: 기업하기 좋은 환경, 투명한 정부, 효율적인 금융시스템, 발달된 인프라 등도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입니다.

      7. 사회 안정성: 정치·사회적 안정, 낮은 범죄율, 양질의 의료 서비스 등 삶의 질이 보장되는 국가가 더 경쟁력 있다고 평가받습니다.

      이처럼 국가경쟁력은 다면적인 개념이므로, 여러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합니다. 가계부 흑자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소비와 투자로 이어져 경제 선순환을 이루는 것이 더욱 건전한 성장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경쟁력이 좋기 위해서는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기술력 수준이 좋아야하며, 대외 신용등급 및 내수시장과 외수시장의 규모 비율등 여러지표등이 좋아야 해요